최승호. 최승호 PD. /자료사진=뉴시스
최승호. 최승호 PD. /자료사진=뉴시스

이명박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26일 최승호 전 MBC PD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 방송사 블랙리스트 피해자로 지목된 인물 가운데 검찰의 소환 조사를 받는 것은 최 PD가 처음이다. 최 PD는 MBC 'PD수첩' 제작진 시절 4대강 의혹 보도를 준비하다 비제작 부서로 전출됐고 2012년에 해고됐다.
최 PD는 이날 오전 9시54분쯤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도착해 "국민의 사랑을 받던 공영방송을 권력이 자신들 원하는 목소리를 내려고 망가뜨리는 역사를 이번 수사 통해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쫓겨나고 이해 가지 않는 이유로 해고되는 과정에서 김재철 (전 MBC 사장) 등 경영진의 뜻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국정원이나 청와대와 연결될 것이라고 보는데 배후의 진실이 드러날지, 검찰이 갖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저도 궁금하고 확인해보고 싶다"고 설명했다.


최 PD는 "국정원이 국민의 정보기관으로서 역할을 하지 않고 대통령 개인 정보기관으로 역할했다"며 "그 상처가 어마어마하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포함해 모두 처벌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최종 시나리오 작성자는 이 전 대통령일 수 밖에 없다"며 "국정원장이 알아서, 홍보수석이 알아서 했다는 것은 정말 듣지도 보지도 못한 거짓이고 이 전 대통령이 다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정원 개혁위원회에 따르면 국정원은 원 전 원장 시절 방송 장악을 위해 MBC, KBS 등 주요 지상파 방송사의 PD, 기자, 작가 등의 성향을 파악한 문건을 생산했다. 개혁위는 국정원이 당시 이 중 정부 비판적 프로그램을 제작하거나 관련 보도를 한 이들에 대해 수뇌부를 통한 인사 개입 등의 압박 활동을 펼친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