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또다시 위협나선 北, 트럼프 강력 비난하며 '자위권' 명분 축적

송고시간2017-09-26 00:5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트럼프 발언·美무력시위'에 강력 반발…브레이크 없는 북미 대립


'트럼프 발언·美무력시위'에 강력 반발…브레이크 없는 북미 대립

(워싱턴 뉴욕=연합뉴스) 이승우 이귀원 특파원 = 북한이 또다시 강한 위협에 나섰다.

유엔총회를 마치고 귀국길에 오르는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성명을 내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북 선전포고를 했다"고 주장한 것이다.

미국과 북한 간 말 전쟁이 갈수록 가열되는 양상이다.

리 외무상은 25일(현지시간) 숙소인 뉴욕 밀레니엄힐튼 유엔플라자 호텔에서 전격적으로 낸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지도부에 '선전포고'를 했다고 반발하면서 북한의 '자위권'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3일 트위터를 통해 리 외무상의 유엔 연설 내용을 비판하면서 "그가 '리틀 로켓맨'(little rocket man·김정은)의 생각을 되 읊은 것이라면 그들은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고 한 데 대해 정면 대응에 나선 것이다.

리 외무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선전포고'라고 규정한 뒤 이틀 전 미국 전략폭격기 B-1B 랜서의 북한 동해 국제공역 비행을 놓고 앞으로는 미국의 폭격기가 북한 영공 안으로 들어오지 않아도 "쏘아 떨굴 권리를 포함해 모든 자위적 대응 권리를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 다.

향후 미국의 군사 옵션에 대해 정면 대응할 것이라고 협박한 것이다.

미국이 북한의 잇단 핵ㆍ미사일 도발에 대해 핵심 전략 자산의 한반도 배치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는데 맞서 쐐기를 박으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만큼 북ㆍ미 간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실제 리 외무상이 뉴욕에 도착하자 마자 태평양상 수소탄 실험을 할 수도 있다고 엄포를 놓은 것의 연장 선상이기도 하다.

리 외무상이 귀국 직전 긴급하게 성명을 발표한 것도 주목되는 대목이다. 그만큼 미국의 B-1B 전략폭격기 무력시위에 대해 북한이 갖는 심적 부담을 반영한다는 지적도 있다.

리 외무상의 성명은 전적으로 북한 김정은의 뜻이 담긴 것이라고 할 때 이번 무력시위에 대한 북한 수뇌부의 의중을 엿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리 외무상이 성명에서 "지난 며칠 동안 알다시피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조·미 사이의 말싸움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기를 간절히 소원했다"고 한 것은 북ㆍ미 간 대립격화의 원인 제공자가 미국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향후 있을지 모를 추가 도발에 대한 명분을 축적하기 위한 발언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향후 북한의 대응을 주목해야 할 것 같다는 게 일부 전문가의 지적이다.

리용호 북한 외무상
리용호 북한 외무상

북한 - 미국 강대강 (PG)
북한 - 미국 강대강 (PG)

[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lesli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