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으로] 보기 좋은 건물이 살기에도 좋을까

이은주 2017. 9. 23. 01: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면 유리로 된 판스워스 하우스
우아하고 혁신적인 구조였지만
거주민에겐 원초적 불쾌감 불러
건축가 아닌 살아갈 사람이 중심

헤드스페이스 폴 키드웰 지음 김성환 옮김, 파우제

"사람들은 각자 자기가 좋아하는 공간에 대한 기억이 있다. 그 기억은 총체적인 것이다. 어떤 형태(form)가 아니라 분위기(atmosphere)다. (중략) 어떤 이들은 건축이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하지만 그야말로 건축에 대한 가장 큰 오해다.”

‘건축가들이 가장 존경하는 건축가’로 꼽히는 스위스 건축가 페터 춤토르(74)가 2014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 본지와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사람과 건물과의 감각적 교감을 중시하고, 건축은 ‘보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는 그의 철학이 이 말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왜 춤토르의 말이 떠올랐을까. 건축과 공간을 말하며 감정(emotion)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는 점에서 주제가 통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인 키드웰은 이야기를 이렇게 시작한다. 우리는 일상의 문제에 사로잡힌 나머지 그 환경이 우리를 더 우울하게 할 수도 있고, 반대로 더 행복하게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다고. 안온함을 선사하는 집, 창의력을 발휘하게 하는 사무실, 사람들을 기분좋게 끌어들이는 거리와 광장에는 보다 과학적인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공간이 사람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다.

저자는 묻는다. 현대 건축의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는 미스 반 데 로에의 판스워스 하우스(1951)는 살기에 과연 괜찮은 곳이었을까. 전면이 유리로 된 스틸 구조가 우아하고 혁신적이기는 했지만, 그곳에서 살아야 했던 건축주에게는 "원초적 불쾌감”을 불러일으켰다고 그는 지적한다. 우리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 편안하고 기분 좋은 장소가 되려면 전망뿐만 아니라 은신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건축가가 무시했다는 것이다.
영국 런던의 네오 뱅크사이드 아파트. 유리 벽은 보기에 멋지고 좋은 전망을 선사하지만 밖에서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여 거주자에게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사진 파우제]
호기심을 자극하는 풍경을 선호하는 것도 인간의 본성이다. 우리가 ‘신비로운’ 공간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다. 복도나 터널, 광장은 물론 변화가 있는 집의 내부 공간 등은 "숨겨진 보물을 찾아 숲을 탐험하는 것과 비슷한 경험”을 준다. 하지만 그것도 적당해야 한다. 저자는 ‘지나친 신비로움’때문에 실패한 건축물로 포르투갈의 ‘카사 다 뮤지카’ 콘서트홀을 꼽는다. 세계 유명 건축가 렘 쿨하스가 설계한 건물이다. 관람객의 흥미를 자극하겠다는 의욕은 높았으나 자연광이 들지 않고 미로 같이 만들어진 공간은 사람들에게 답답함과 초조함을 선사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건축심리학자의 입장에서 건축을 바라본 저자가 설계를 주도하는 건축가들의 자의식을 작정하고 비판한 점도 흥미롭다. 서문에서 그는 "사람은 어느 곳에서든 비참해할 수 있고 어느 곳에서든 기뻐할 수 있다. 건축은 그런 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말한 렘 쿨하스가 틀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 적었을 정도다. 그는 ‘미니멀 유형’의 집을 만들어내는 건축가들은 자신의 자의식을 위해 실제 거주하는 사람을 희생시키고 있고, 어떤 건축가들은 자아도취에 빠져 거주민들에게 위화감을 주는 압도적인 크기의 건물을 만들어낸다고 꼬집는다.

키드웰의 이야기는 결국 우리네 삶의 ‘본질’에 관한 질문으로 돌아간다. 이 도시에서 우리는 과연 행복한가.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잘 모르고, 아이들은 흙 구경을 하지 못한 채 플라스틱 매트가 깔린 실내 놀이터에서 놀아야 하는 이 환경이 과연 최선인가.

저자가 제시하는 해답은 있다. “도시에서 받는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간의 조건을 기억하는 것”이다. 지금보다 더 어울리며 살아야 하고, 자연을 향한 욕구가 채워져야 하는 사람, 그 사람을 건축의 중심에 놓아야 한다는 얘기다.

이은주 기자 jul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