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소물인터넷 포트폴리오 완성..'Cat.M1' 상용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롱텀에벌루션(LTE) 기반의 소물인터넷(IoST) 마지막 기술인 'LTE Cat.M1(이하 Cat.M1)'을 상용화한다.
이통 3사는 Cat.M1 상용화로 IoST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
이통사 관계자는 "Cat.M1은 IoST 후보 기술 가운데 하나로, 내년 상용화가 예상된다"면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져 선택폭이 넓어지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롱텀에벌루션(LTE) 기반의 소물인터넷(IoST) 마지막 기술인 'LTE Cat.M1(이하 Cat.M1)'을 상용화한다. IoST는 저전력·광대역(LPWA)이 특징인 사물인터넷(IoT)의 한 종류다.
삼성전자는 최근 이통 3사의 요청으로 기지국에 설치할 Cat.M1 지원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있다. 조만간 이통 3사의 테스트베드에 설치, 필드 테스트를 진행한다. 연내 전국 네트워크에 설치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로라와 NB-IoT, LTE-M에 이어 Cat.M1을 활용, 다양한 서비스 발굴·확대는 물론 IoST 시장 성장에 전기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eMTC(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로도 불리는 Cat.M1은 주파수 1.4㎒ 폭을 사용, 최고 1Mbps 속도를 낸다. 다량 접속이나 이동형 기기, 중요 자산 추적 서비스 등에 적합하다. 현재 이통사가 쓰는 LTE-M을 경량화하고, 동시에 NB-IoT의 강점인 '저전력'을 추가했다.
이통 3사는 Cat.M1 상용화로 IoST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 SK텔레콤은 로라와 Cat.M1 및 LTE-M, KT와 LG유플러스는 NB-IoT와 Cat.M1 및 LTE-M이다. 용량, 속도, 서비스 종류에 따라 기술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Cat.M1 서비스를 제공할 주파수는 각 이통사 전국망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800㎒, KT는 1.8㎓를 각각 사용한다. KT와 LG유플러스는 NB-IoT를 서비스하는 대역에서 Cat.M1도 동시 제공한다.
상용화 시점은 내년 초다. Cat.M1을 지원하는 칩과 모듈이 출시됐기 때문에 조만간 단말도 출시될 전망이다. 지난해 LTE-M과 로라에 이어 올해 NB-IoT, 내년 Cat.M1이 상용화되면 IoST 시장 성장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통사 관계자는 “Cat.M1은 IoST 후보 기술 가운데 하나로, 내년 상용화가 예상된다”면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져 선택폭이 넓어지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부의 기술 기준도 관심사다. 이에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NB-IoT 상용화 지원을 위해 주파수 대역·폭, 간섭 방지 대책, 출력 등을 담은 기술 기준을 개발했다. Cat.M1도 주파수 폭이 1.4㎒나 기술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된다.
SK텔레콤은 과기정통부에 Cat.M1 등 IoST 기술을 설명하고 협력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는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면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표〉소물인터넷 포트폴리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 스마트폰, 방송 카메라 수준 진화..초당 1000장 촬영 이미지센서 양산
- 이통사, 소물인터넷 포트폴리오 완성..'Cat.M1' 상용화
- 일자리 늘리라면서 규제는 산더미, 속 끓는 유통업계
- 물 전기분해용 흑연 카본 양극촉매 개발..고순도 수소에너지 상용화 기여
- "배터리 핵심광물 중국이 싹쓸이..한국도 빠른 대응 나서야"
- ZMP-TES, 양사 기술 접목한 로봇 개발 추진
- 아태지역 무선 충전 시장 2023년까지 연평균 34% 성장 전망
- 빅데이터로 인력 수급 미스매치 해결한다.. 스마트소셜 '퍼스트잡 솔루션' 화제
- 유럽발 구글세 바람, 국내서도 고정사업장 개념확대 등 논의 활발
- "SK하이닉스, 도시바메모리 의결권 비율 15%로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