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투데이
기자이미지 장재용

野 "대북 유화정책 철회" vs 與 "전술핵 반대"

野 "대북 유화정책 철회" vs 與 "전술핵 반대"
입력 2017-09-16 06:13 | 수정 2017-09-16 06:16
재생목록
    ◀ 앵커 ▶

    문재인정부 들어 10번째 북한 미사일 도발에 야권은 전술핵 재배치와 대북 유화정책 철회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특히 문 대통령의 전술핵 반대 천명과 대북 인도적 지원 발표로 야권의 반발은 더 커졌습니다.

    장재용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 핵개발을 체제보장용으로 규정했습니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이 단순한 '자위적 수단'이나 '협상용'이 아닌 적화통일을 위한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지만, 정부는 대북 인도적 지원 방침을 밝혔습니다.

    그리고 하루 만에 북한이 보란듯이 미사일 추가 도발로 응수하자, 자유한국당은 5천만 국민이 핵인질이 됐는데 북핵을 체제보장용이라고 하는 건 어이없다고 비판했습니다.

    대응 발사한 우리 군의 미사일 한 발이 추락한 사실까지 드러나자, 남은 방법은 핵무장을 통한 남북 핵균형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우택/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권총 들고 온 사람한테 바늘로 싸우겠다는 사람하고 똑같습니다."

    바른정당은 잘못된 대북신호를 반복하는 정부의 인식이 '통탄스럽다'고 지적하면서, 청와대가 북한 도발 징후를 알고서도 인도적 지원을 발표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주호영/바른정당 원내대표]
    "안보 무능이라는 말도 사치스럽습니다. 안보 포기입니다, 포기. 정말 정신 차리십시오."

    국민의당도 대북 지원 등 정책 전반에 재검토를 촉구했습니다.

    [안철수/국민의당 대표]
    "유엔 제재 결의안이 통과된 직후, 미사일을 쏘아대는 지금이 (대북 지원) 적기인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고립을 자초하고 있다고 북한을 규탄하면서도 전술핵에는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습니다.

    [추미애/더불어민주당 대표]
    "한·중, 한·러 관계에 악영향을 가져올 것임을... (미국에 전술핵 재배치 촉구 등) '사대 외교' 즉각 중단 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 주 국회에서 대북 정책을 놓고 격론이 예상됩니다.

    MBC뉴스 장재용입니다.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14F

                엠빅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