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자율주행차 '안전한 활성화' 방안 마련 착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13일 '자율주행차 개인·위치정보 보호기준 연구반' 첫 회의를 갖고 자동차기술, 정보보호, 법․제도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자율주행차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하지만 정보들이 안전하게 보호되지 못할 경우 운전자는 물론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개인·위치정보의 안전한 보호와 활용은 자율주행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결 조건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방송통신위원회가 13일 '자율주행차 개인·위치정보 보호기준 연구반' 첫 회의를 갖고 자동차기술, 정보보호, 법․제도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자율주행차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미래형 고부가가치 산업인 자율주행차는 모든 안전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넓은 범위의 개인·위치정보의 처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보들이 안전하게 보호되지 못할 경우 운전자는 물론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개인·위치정보의 안전한 보호와 활용은 자율주행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결 조건이다.
이에 미국과 유럽에서는 '자율주행차 안전기준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는 등 자율주행차 활성화를 위한 개인·위치정보의 보호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방통위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학계, 산업계, 연구기관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개인·위치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의 명확성,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합의점을 도출할 계획이다.
또 범정부 네거티브 규제개선 TF를 통해 부처간 적극 협력함으로써 자율주행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고삼석 방통위 상임위원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인 자율주행차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개인·위치정보 보호에 대한 합의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표준에 맞는 제도를 마련해 자율주행차 활성화를 위한 한 축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odong85@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린, 사업가 ♥남편과 웨딩화보 공개…꿀 뚝뚝
- '서울대생' 정은표 아들, 30㎏ 감량 후 훈남 아우라
- '연예계 은퇴' 소희, 청순 미모…15세 연상 ♥사업가가 찍어줬나
- "구준엽, 故서희원 장례 안 끝났는데 한국 왔다" 가짜뉴스로 몸살
- 17살 딸 몸무게 27㎏…삐뚤어진 자식 사랑, 결국 징역형
- 박봄, '이민호와 셀프 열애설' 논란에 "다 진짜라서 쓴 것"
- 친일파 후손 이지아 父, 350억 땅 상속 분쟁
- '잉꼬부부' 신애라 "차인표와 다음 생엔 결혼 안 해"
- "전쟁은 남자XX들 때문에"…女 스트리머, 논란 일자 결국
- 김새론, 유족 오열 속 영면…천재소녀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