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윤세영 SBS 회장, 박근혜 정권 돕는 게 언론의 사명인가
[경향신문] 윤세영 SBS 회장이 박근혜 정부 동안 자사 보도본부 간부들에게 “정권을 도우라”는 지침을 지속적으로 내려보냈다는 폭로가 나왔다. ‘전국언론노조 SBS본부’(SBS노조)가 발행한 노보를 보면 윤 회장은 보도본부 부장 이상 보직자 전원을 소집한 오찬 자리 등에서 “박근혜 정권을 비판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이 지시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지던 지난해 말까지 계속됐다. 윤 회장은 지난해 4월4일 “대통령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박근혜 정부를 좀 도와줘야 한다. 나는 이런 말을 해도 된다”고 간부들과의 오찬에서 말했다. 지난해 9월에는 “대통령에게 빚을 졌다. 혜택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한다.
어이가 없다. 권력을 비판·견제해야 하는 언론사의 회장이 정권과 결탁해 사익을 취하고, 또 그런 사실을 공공연하게 말하면서 보도를 통제하는 행위가 대명천지에 벌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SBS노조에 따르면 2015년 12월 졸속으로 이뤄진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를 당시 <8뉴스>에서 칭찬 일색으로 보도한 것도 윤 회장 지시 때문이라고 한다. 윤 회장은 앵커가 뉴스 말미에 박근혜 정부를 비판하는 클로징 멘트를 하는 것도 막았다.
이명박 정부 당시 4대강 사업에 비판 보도를 하던 기자에게도 윤 회장은 압력을 가하고 부당하게 전보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SBS 박수택 기자는 “2009년 윤세영 회장으로부터 40여분에 걸쳐 4대강 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취재보도를 하지 말라는 취지의 압박성 발언을 들어야 했다”고 밝혔다. 이후 박 기자는 취재 현장에 갈 수 없는 논설위원실로 발령이 났고, 공교롭게도 윤 회장이 지배주주인 태영건설은 낙동강 22공구 달성·고령 지구 등 총 5곳의 4대강 사업 공사를 따냈다.
공영인 KBS·MBC와 달리 SBS는 민영 체제이다. 민영 방송도 공공재이자 희소 자원인 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공익성과 공공성이 생명이다. 언론은 객관성, 공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윤 회장은 방송을 사유화하고 저널리즘 원칙을 훼손했다. 권력자와의 거래로 사익을 챙겼다. 윤 회장에게 더 이상 SBS를 맡겨 놓아서는 안된다. KBS 고대영 사장이나 MBC 김장겸 사장처럼 윤 회장도 부적격이다. SBS 구성원들도 윤 회장 일가가 장악한 회사 지배구조를 개편하고 방송 민주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기 바란다.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복현 사의 표명…“상법 개정안 거부권, 윤 대통령 있었다면 행사 안 했을 것”
- 수원 인계동 오피스텔 인근서 2명 숨진 채 발견
- [스팟+터뷰] 박범계 “헌재 선고일 지정은 ‘이견 해소’…윤석열 복귀해도 국민이 끌어낸다”
- 주한미군 “한국 계엄령 안 따라”···개인 SNS 글에 “거짓” 일일이 지적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 탄핵 선고 앞두고…윤 대통령·신평·전한길 등 책 출간 “계엄으로 ‘진보귀족’에 저항”
- 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피해자 언급은 없어
-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 미,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상호관세 발표···“즉시 발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