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신대, 故 배민수 목사 기념강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세대 신과대학은 오는 21일 오후 3시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원두우 신학관 예배실에서 '제15회 배민수 목사(1869-1968) 기념강좌'를 개최한다.
주제는 '한국 기독교와 민족운동'이다.
또 한규무 광주대 교수는 '배민수의 기독교 농촌운동과 고등농사학원'을 발제한다.
'배민수 목사의 그 나라와 한국농촌(1958년 초판 발행)'의 현대어 개정판 출판 기념회도 함께 열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신과대학은 오는 21일 오후 3시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원두우 신학관 예배실에서 '제15회 배민수 목사(1869-1968) 기념강좌'를 개최한다.
주제는 '한국 기독교와 민족운동'이다.
유상현 연세대 교수는 '교회와 권력-누가의 바울 사례'라는 제목으로 발표한다.
또 한규무 광주대 교수는 '배민수의 기독교 농촌운동과 고등농사학원'을 발제한다.
'배민수 목사의 그 나라와 한국농촌(1958년 초판 발행)'의 현대어 개정판 출판 기념회도 함께 열린다.
배 목사는 독립투사인 동시에 농촌운동을 통해 한국 사회를 변혁하고자 한 기독교 실천가였다.
해방 전 그는 조선국민회 조선지회 사건 및 성진 3·1만세운동 주도로 두 차례 투옥됐다.
농우회 사건으로 망명을 떠나는 등 역경 속에도 장로교회 농촌운동을 주도했다.
8·15 해방 후에는 대한금융조합연합회 회장을 역임한 후 대전과 일산에 농업기술학교를 세워 빈곤한 농촌을 일으켜 세우기 위해 힘썼다.
그는 1993년 의병장으로 순국한 부친 배창근과 함께 건국훈장애국장을 받았다.
사망 후 삼애농업기술학원은 재단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1976년 8월 30일 연세대에 기증됐다.
연세대는 배 목사의 하나님 사랑, 농촌사랑, 노동사랑이라고 하는 ‘삼애(三愛)정신’과 숭고한 실천적 사상을 계승하기 위해 삼애기념사업위원회를 조직했다.
농어촌 출신 학생 및 목회자에 대한 장학사업, 배민수기념관 건축, 청소년체육시설 조성, 기념도서 발간, 배민수기념강좌 개설 등의 사업을 추진해 왔다.
2006년에는 삼애교회를 설립하고 배 목사의 숙원사업이던 순수하고 깨끗한 초교파 교회로 예배를 드리고 있다.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지현의 기독문학기행] "내 주님이라면 예수님밖에 더 있나요"
- [또 불거진 청소년 사역자 성적 타락] 유명세 누리던 스타 강사들, 범죄 후에도 계속 활동
- 예수는 어떤 분인가.. 27가지 묵상
- '신사도 운동'에 빠진 미국 교회
- 동성애 합법화 개헌 반대 서명자 25만명 넘었다
- 코란 불태웠다는 이유로.. 파키스탄 기독인 소년 사형 위기
- 섬김·나눔의 식탁 영성을 살찌우다
- "목사, 에쿠스 타도 되나?"..목회자의 윤리·소유에 대한 묵상
- '육체영생 신인합일'이라더니.. 신천지 교주 이만희 척추수술 받고 입원
- 분노한 무슬림들 한가운데 홀로 선 팔레스타인 기독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