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경찰' 일파만파..40개 중국동포 단체 대표 최초 집결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 중국 동포 사회 모두가 합심해 똘똘 뭉쳐야 한다.”(김용선 중국동포한마음협회 회장) “우리 동포 사회의 힘이 약하고 역량이 부족해서 이런 일이 생겼다. 이번 기회에 동포 사회를 비하하는 문화 적폐를 청산해야 한다. 이게 나라냐.”(곽재석 동포개발연구원 소장)
국내 중국동포들을 대표하는 각 단체의 단체장들이 함께 모여 중국 동포 비하에 대해 공동 대응을 꾸려나가기로 합의했다. 국내 중국동포 단체 관계자들은 1일 서울 대림2동 주민센터에 모였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는데 합의하고 향후 ‘총연합회’ 결성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내에 거주하는 중국동포는 약 66만명으로 추산된다.
1일 오후 3시 서울 대림2동 주민센터엔 재한동포총연합회, 중국동포한마음협회 등 국내 중국동포 단체 47개 중 40개의 단체장이 회의에 참석했다. 박옥선 영화 ‘청년경찰’ 상영금지 촉구 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나머지 7곳 단체의 단체장들은 일정상 참여하지 못했지만, 앞으로 뜻을 함께 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고 말했다. 단체장들 외에도 길림신문 대표와 대림상인회 회장, 자율방범대 대장 등 관계자들 20여 명도 이 회의에 참여했다.
박 위원장은 ‘대책위원회 1차 경과보고 및 대표자회의’를 개최하고 “영화가 중국 동포들을 범죄 집단으로 매도하고 중국 동포들이 많이 사는 서울 대림동을 범죄 소굴로 묘사해 혐오를 확산시켜 더는 참을 수 없게 됐다. 이제는 우리가 똘똘 뭉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앞서 영화 제작사와 배급사를 상대로 영화 상영 즉각 중단, 제작진의 대림동 방문 사과 및 언론을 통한 공개 사과문 게재, 금전적 피해 보상, 재발 방지 약속을 촉구했다. 또 이들은 이날 회의에서 “영화 청년경찰뿐 아니라 중국동포를 비하하는 내용의 모든 문화 콘텐트들에 대해서도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 ◇청년경찰 논란 왜 유독 커졌나? 영화ㆍ드라마에 중국동포가 불편해할 만한 장면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영화 ‘황해’(2010), ‘신세계’(2013), ‘악녀’(2017) 등에서도 중국동포의 인신매매, 살인 장면이 등장했다.
━ ◇중국인 거리가 우범지대라는 건 실제와 달라 대림동의 범죄율은 매년 줄어들고 있다. 서울 영등포경찰서에 따르면 대림동의 5대범죄(살인ㆍ강도ㆍ성폭력ㆍ절도ㆍ폭력) 발생건수는 2015년 상반기 624건에서 2017년 상반기 471건으로 25% 줄었다. 전체 범죄 수로 따지면 같은 기간 60% 가량 줄었다. 영등포경찰서는 올해 상반기 치안종합성과평가에서 대림동의 우수한 치안을 바탕으로 ‘최우수 등급’을 받기도 했다. 대림동의 범죄율이 급감한 것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방범활동이 영향을 미쳤다. 지역 경찰관들은 “영화와 실제는 전혀 다르다. 편견과 달리 중국 동포들은 자발적으로 치안을 돕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대림동의 중국 동포들은 2010년부터 외국인자율방범대(외자대)를 출범시켜 자율적인 순찰ㆍ미화 활동을 해오고 있다. 금요일~일요일 오후 8시부터 2시간 동안 매주 하는 일이다. 또 대림파출소 경찰들에게 중국어를 가르쳐주기도 한다. 영화에서 대림동을 ‘경찰도 무서워 잘 안가는 곳’이라고 묘사한 것과는 180도 다르다.
중국 동포를 포함한 체류 외국인 범죄율도 내국인 범죄율보다 더 낮다. 지난해 IOM 이민정책연구원이 낸 통계에 따르면 2013년 기준 내국인 범죄는 10만 명당 3649건, 외국인 범죄는 10만 명당 1585건으로 나타났다. 내국인 범죄율이 외국인 범죄율의 두 배가 넘는다.
━ ◇중국 언론도 보도하기 시작 이 영화 논란에 대해 중국 현지 언론들도 보도하기 시작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의 온라인판 환구망(環球網)은 지난달 29일 “한국 영화가 서울 중국인거리를 모욕해 재한 중국 동포 단체들이 화났다”는 제목으로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관영 신화통신 등에서도 비슷한 내용을 보도했다.
김준영 기자 kim.junyo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