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란] '자철-현수' 기성용의 대체자는 없었다
OSEN 우충원 기자
발행 2017.08.31 22: 53

기성용을 대체할 선수가 없었다. 구자철-장현수 조합도 무리였다.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은 31일 오후 서울월드컵경기장서 열린 이란과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9차전서 0-0으로 비겼다. 한국은 후반 초반 이란 선수의 퇴장으로 수적 우세를 점했지만 끝내 소득을 올리지 못했다.
한국(승점 14)은 3위 시리아(골득실 +1)와 4위 우즈벡(이상 승점 12, 골득실 -1)을 따돌리고 2위를 유지했다. 한국은 내달 1일 우즈벡 원정길에 올라 5일 자정 최종예선 최종전을 치른다. 남은 본선 직행 티켓 1장이 걸린 최후의 일전이다.

신태용호는 경기 전 고민이 많았다. 이미 경기 전날인 30일 베스트 11을 선정했지만 그 과정에서 기성용 출전에 대해 신태용 감독과 코칭 스태프는 많은 고민을 했다. 구자철은 최근 몇 년간 한국 대표팀의 핵심 미드필더였다. 수비형 미드필더로 나서지만 공격까지 경기 전체를 좌지우지 하는 선수였다. 때로는 거친 수비를 펼쳤고 강력한 중거리 슈팅까지 선보이는 다방면에 여러가지 능력을 선보이는 핵심이었다.
그런데 기성용은 부상을 당했다. 기성용은 소집 전 부상을 당해 소속팀에서 재활에 매진했다. 정상적인 훈련을 소화하지 못한 채 신 감독의 부름을 받아 25일 파주NFC에 짐을 풀었다. 기성용은 소속팀에 차출 허락을 받아 국내에서 수술 부위를 점검하며 대표팀에 합류했다. 기성용을 선발할 때부터 논란이 있었다. 부상자인 기성용을 굳이 선발할 이유가 무엇이냐는 이유였다.
선발 후 빠르게 회복중이라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결국 기성용은 출전이 어려웠다. 이란과 경기를 앞두고 2시간전 기성용은 이번 출전 엔트리서 제외됐다. 23명의 선수중 기성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결국 신태용 감독은 수비형 미드필더를 2명 세웠다. 소속팀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변신한 구자철과 장현수가 그 주인공.
구자철과 장현수는 멀티 플레이어다.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하게 여러 포지션을 맡으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특히 장현수의 경우 울리 슈틸리케 전 감독이 중앙 수비 혹은 측면 수비로 출전 시키며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신태용 감독에게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많지 않았다. 중동무대서 존재감을 드러낸 권경원도 있었지만 신 감독이 밑음을 나타내며 경기에 출전 시킨 것은 구자철과 장현수였다.
더블 볼란치로 나선 구자철과 장현수는 분명 역할이 구분됐다. 구자철은 앞으로 전진하며 공격적인 움직임을 선보였고 장현수는 이란의 빠른 역습을 포백 수비 라인 앞선에서 미리 차단했다. 장현수는 적극적으로 움직였다.빠르게 움직이면서 공격에도 가담했다. 또 이란의 공격 때는 뒤로 재빠르게 물러서며 포백수비와 함께 이란 공격을 미리 차단했다.
개인적인 움직임은 큰 문제가 없었지만 기성용의 공백을 채우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이란이 중원을 거치지 않고 빠른 공격을 펼치는 동안 경기 템포를 조절할 선수가 없었다. 장현수의 경우 템포를 조절하는 역할을 맡기에는 부족함이 많고 구자철에 대신해야 했지만 공격적인 움직임을 제외하고는 더 중요하게 맡아야 할 경기 조율이 쉽지 않았다.
구자철의 활동량은 굉장히 많았다. 하지만 체력적으로 문제가 많았다. 그 결과 전방에서 황희찬을 살리는 플레이가 보이지 않았고 포백수비라인도 많이 움직여야 했다. 이란이 좌우 측면 뿐만 아니라 중앙까지 빠르게 움직이면서 라인 전체가 함께 움직였고 수비진은 체력적으로 부담이 컸다.
전체적으로 이란에 비해 볼키핑 능력까지 떨어지면서 경기를 압도할만한 템포를 만들지 못한 한국은 부담스럽게 경기를 펼쳐야 했다. 반면 이란 중원은 경기 템포를 이끌었다.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지는 않았지민 이란이 정한 템포를 통해 한국도 경기를 이어갔다.
한국은 후반 5분 기회를 맞이했다. 이란 사에드 에자톨라히가 김민재와 공중볼 경합 후 몰래 발로 얼굴을 밟았고 심판은 퇴장을 명령했다. 그 결과 한국은 기회가 생겼다. 하지만 퇴장 직후에는 그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이란이 수비적 전술로 변경한 뒤 뒷공간을 파고들기 위해 롱 패스 연결을 시도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한국은 경기 템포를 조절하기 보다는 손흥민의 돌파에 전적으로 의존했다. 상대가 한 명 부족한 상황에서도 유리한 경기 운영을 펼치지 못한 것은 분명했다. 중원에서 조율을 맡은 선수가 없으니 한국 공격의 위력은 반감됐다. 동등한 숫자의 선수가 함께 뛰는 것처럼 보였다.
결국 한국은 한 명이 많은 상황에서도 이란의 경기 운영에 밀리고 말았다. 결국 마지막까지 월드컵 진출을 위한 준비를 펼쳐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됐다. / 10bird@osen.co.kr
[사진] 서울월드컵경기장=손용호 기자 spjj@osen.co.kr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