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메일서비스 '공직자 통합메일'로 전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가 메일 보안기능 강화를 위해 경기도 메일서비스를 공직자 통합메일로 전환한다.
경기도 메일서비스는 경기도청 소속 공무원과 도민 43만명이 사용자로 가입된 메일서비스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 메일서비스에 43만명의 도민들이 가입돼 있지만 하루 평균 접속자 수가 2700여명에 그치는 등 1%미만이고, 대부분 사용자는 공무원들"이라며 "계속되는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보안 강화 등을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직자 통합메일을 내년부터 사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메일 보안기능 강화를 위해 경기도 메일서비스를 공직자 통합메일로 전환한다.
경기도 메일서비스는 경기도청 소속 공무원과 도민 43만명이 사용자로 가입된 메일서비스다. 아이디 뒤에 붙는 도메인 주소로 'gg.go.kr'이나 'kg21.net'을 사용한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 메일서비스에 43만명의 도민들이 가입돼 있지만 하루 평균 접속자 수가 2700여명에 그치는 등 1%미만이고, 대부분 사용자는 공무원들"이라며 "계속되는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보안 강화 등을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직자 통합메일을 내년부터 사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에 앞서 도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2%의 직원이 메일 전환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의 공직자들은 이미 통합메일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도민을 대상으로 제공되던 메일 서비스(ID@kg21.net)를 올 연말까지만 제공한다.
한편 도는 공직자 통합메일 전환 시 ▲공무원 전용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보안 로그인 ▲e메일 송수신 시 암호화를 통한 해킹 위험 방지 ▲악성코드 방지 기능으로 랜섬웨어 등의 각종 바이러스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한 해 평균 메일서비스 제공에 따른 유지보수비 4300만원도 아낄 수 있게 된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가입 안 할게요" 1시간 설문에 녹취까지…잡음 끊임없는 금소법[금융혁신:성장을 설계하다
- "사실은 출국 18~29일 전이 제일 싸요"…초고수들만 아는 항공권 구매 '꿀팁'[주머니톡] - 아시아경
- 목욕 후 '퉁퉁' 불며 생기는 손가락 주름…"매번 같은 형태였다" - 아시아경제
- 허경영, 유치장서 복통 호소 119행…"이상없어 복귀" - 아시아경제
- 승진 안해도 돼…2030 직장인 늘어나는 이유 - 아시아경제
- 병원 가려던 주민도 '화들짝' 놀랐다…갑자기 관광객 늘어난 곳 - 아시아경제
- "아기 낳고 싶은데 결혼은 싫다" 바뀌는 2030…상승폭 여성이 더 커 - 아시아경제
- 모르는 사람이 어깨를 '툭'…일본서 난리났던 '어깨빵' 전 세계 확산 - 아시아경제
- '尹 변호' 김계리, 국힘 입당 제동에 "가족되신 것 환영한다더니" - 아시아경제
- "변기보다 수염이 더럽다"…과학적 근거 있다! 없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