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에 무인택배함 설치 의무화 "고민 되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공동주택에 무인택배함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발의되자 건설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업계는 굳이 모든 공동주택에 무인택배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데다, 설치 후에는 입주자들에게 관리비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업계는 검토의견을 통해 30가구 이상 공동주택 가운데 관리사무소가 있는 곳은 무인택배함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공동주택에 무인택배함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발의되자 건설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업계는 굳이 모든 공동주택에 무인택배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데다, 설치 후에는 입주자들에게 관리비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공동주택에 무인택배함 설치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주택법’과 ‘공동주택관리법’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무인택배함 설치는 최근 늘고 있는 택배 관련 범죄를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안으로 꼽히고 있다. 택배원을 가장한 범죄나, 배달 실수, 택배물건 분실 등의 사고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입주민 편의도 높아지다 보니 설치 의무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 셈이다.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앞으로 지어질 신규 공동주택은 무인택배함을 설치해야 하고, 무인택배함이 설치되지 않은 기존 공동주택의 경우 입주자 대표회의를 거쳐 무인택배함을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건설업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법안 개정안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대형 건설사 모임인 한국주택협회는 지난 11일 국토교통부에 김두관 의원의 관련 법안 발의 내용 관련해 검토의견을 제출했다. 업계는 검토의견을 통해 30가구 이상 공동주택 가운데 관리사무소가 있는 곳은 무인택배함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했다.
건설업계는 원룸과 다세대 주택의 경우 관리실이 없어 택배 사고나 범죄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경비원이 상주하는 아파트는 무인택배함이 없어도 큰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 무인택배보관함이 없는 경우에도 경비원이 대신 받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비용 문제도 있다. 무인택배함을 통상 세 개 동에 하나씩 설치하는데, 비용은 2000만~5000만원 정도로 적지 않다. 입주민들은 설치 후 관리비도 부담해야 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무인택배함 설치가 입주민의 편의를 높일 수 있겠지만, 건축 안전과 큰 상관없는 생활 편의 관련 문제를 굳이 법으로 강제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김두관 의원실 관계자는 “무인택배함을 설치하면 경비원과 택배기사의 업무 부담이 줄고, 범죄 발생 확률이 줄어드는 등 입주민 편의가 높아진다”면서 “법안이 통과될 경우 당장의 (설치에 따른) 비용보다는 사회적 편익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곰팡이·벌레 들끓는 수용소’... 체포된 한국인, 열악한 구금시설 수용
- [르포] 1돈에 60만원, ‘금값이 금값’ 되자… 사금 캐고, 훔치고, 금고에 감추고
- [IFA 2025] 공중제비 도는 中 휴머노이드, 25㎝ 계단 오르는 로봇청소기… ‘세계 최초’ 쏟아낸 로
- 배터리 1위 中 CATL, 국산 전기차로 영역 확대
- [Why] 전기차 판매 신기록에도 美 자동차 업계가 불안한 이유
- [르포] 재건축 조합 현수막 다툼으로 번진 서울 송파구 국민의힘 ‘당내 충돌’ 2라운드
- [비즈톡톡] 이정재 앞세운 퍼플렉시티, 세계 첫 오프라인 카페 서울 강남에 낸 이유는
- 움직이는 집무실, 달리는 요새… 세계 정상 리무진이 숨긴 상징적 의미
- 이찬진 금감원장, 소비자 보호 강조에… ‘금융 민원 1위’ 보험사 긴장
- [시승기] 782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벤틀리 컨티넨탈 GT 스피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