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던 경기 '멈칫'..韓OECD 경기선행지수 3개월째 내리막(종합)

2017. 8. 20. 1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업생산 3개월 연속 역성장..심리 개선됐지만 소비는 '들쑥날쑥'
연말까지 하방 요인 수두룩..전문가 "3% 성장률 달성 어려울 수도"

산업생산 3개월 연속 역성장…심리 개선됐지만 소비는 '들쑥날쑥'

연말까지 하방 요인 수두룩…전문가 "3% 성장률 달성 어려울 수도"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정책팀 = 지난해 말 이후 이어지던 경기 회복세가 한풀 꺾이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 연말까지 경기 상방 요인은 적고 하방 요인은 수두룩해 새 정부 경제팀이 위기관리 능력 시험대에 올랐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6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100.57로 전달(100.60) 대비 0.03포인트 떨어졌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지난 3월 100.64에서 4월 100.62로 소폭 하락했고 5월(100.60)과 6월(100.57)까지 3개월째 내림세를 보였다.

이는 지난해 6월부터 13개월째 상승세를 나타내는 OECD 전체 경기선행지수를 역행하는 것이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100 이상이면 경기가 확장적 국면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아직 한국의 OECD 경기선행지수가 100을 넘어 경기가 확장적 국면에 있지만 지수 자체가 낮아지면서 회복세가 다소 제약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2014년 10월(100.0) 이후 매달 100을 넘었고 지난 4월(100.64)에는 2011년 3월(100.78)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최근 OECD 경기선행지수가 꺾이면서 경기 조정 국면이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 전체 산업생산은 지난 3월 전월 대비 1.3% 증가했으나 4월 1% 감소한 데 이어 5월(-0.2%)과 6월(-0.1%)까지 3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산업생산이 석 달 연속 감소한 것은 2013년 5∼7월 이후 약 3년 11개월 만에 처음이다.

소비심리 개선이 실제 지표로 이어지지 않는 것도 문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 3월 96.7에서 4월 101.2로 기준값을 넘어선 뒤 5월 108.0, 6월 111.1, 7월 111.2로 상승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2월부터 6개월 연속 상승했고, 특히 7월 지수는 2011년 1월(111.4) 이후 6년 6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그러나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 증가율은 3월 -0.3%(전월 대비), 4월 0.7%, 5월 -1.1%, 6월 1.1% 등으로 꾸준한 회복세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매판매 선행 지수로 해석된다.

소비자심리지수가 상승하면 1∼6개월 후부터 본격적으로 소매판매가 상승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제작 조혜인, 최자윤]

문제는 앞으로 연말까지 뚜렷한 경기 호재는 없고 악재로 이어질 수 있는 불확실성이 가득하다는 점이다.

대내적으로는 8·2 부동산대책 영향으로 지난해 경기를 뒷받침한 건설 경기 성장세가 꺾일 우려가 제기되고 있고 살충제 달걀 파동 여파도 생활물가 불안으로 내수 위축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대외적으로도 북한과 미국 간 긴장 고조, 중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장기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논의 돌입, 미국 금리 인상 본격화 등 리스크 요인이 수두룩하다.

특히 최근 고조된 북한과 미국의 갈등으로 부도 위험 지표인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1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는 등 대외 불확실성이 점차 커지는 모습이다.

이 때문에 연말까지 새 정부 경제팀이 위기를 어떻게 대처해나가느냐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문재인 정부 경제팀은 이전 정권보다 양호한 상황에서 정권을 잡았다.

지난해에서 넘어온 초과 세수가 9조8천억 원에 달해 추가경정예산(추경) 재원을 초과 세수로 대부분 충당할 수 있었다.

반도체 슈퍼 사이클 덕분에 생산, 수출이 활발해진 호재도 누렸다.

그러나 호재 요인이 점차 옅어져 가고 있고 위기 가능성이 커지면서 자칫 경기가 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미 정부가 올해 목표로 삼은 3% 성장률 달성은 어렵다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김정식 연세대 교수는 "북핵 리스크, 투자·소비 위축에 수출도 큰 폭으로 늘어나지 않는 상황"이라며 "부동산대책이 건설 경기를 가라앉힐 수 있다 보니 성장률이 3%보다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기댈 것은 수출과 추경밖에 없다"라며 "내부적으로 기업의 투자 의욕을 살리는 것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결과적으로 수출에서 활로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반기보다 성장세가 확대되기보다는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porque@yna.co.kr

☞ "딸과 함께 추행당해" 병원이사장 무고한 50대 꽃뱀
☞ 서른살 청년이 77살 할머니 성폭행하려다 숨지게 해
☞ "통제관이 대기 대기! 외친 순간 포탄 나가고 후폭풍"
☞ "임신 순번제?"…신입 괴롭힘 등 간호사 근무환경 열악
☞ STX조선해양 폭발 사고…협력업체직원만 4명 사망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