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고 전시회 초대권 받자!

문 대통령 "세월호를 늘 기억하고 있었다"…세월호 가족들에게 '정부 대표' 사과

손제민·김지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세월호를 늘 기억하고 있었다”며 “늦었지만 정부를 대표해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세월호 사건 희생자 가족들에게 사과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세월호 가족들을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월호 가족들은 문 대통령에 2기 특별조사위원회 설치를 통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4·16 안산 추모공원 설립 등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세월호 희생자 가족 200여명을 만나 “세월호 진실 규명을 위해서 정부가 국회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가족들뿐만 아니라 많은 국민들이 3년이 넘는 지금까지도 세월호를 내려놓지 못하고 가슴 아파하는 이유는 미수습자 문제 외에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부분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라며 “국민 한사람 한사람의 안전과 생명을 무엇보다 귀하게 여기는 나라다운 나라를 반드시 만들어서 세월호 희생이 반드시 헛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4.16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 초청 간담회에서 고 김유민 양 아버지 김영오 씨를 만나 두 손을 잡고 얘기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4.16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 초청 간담회에서 고 김유민 양 아버지 김영오 씨를 만나 두 손을 잡고 얘기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세월호의 진실을 규명하는 것은 가족들의 한을 풀어주고 아픔을 씻어주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다시는 그런 참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안전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교훈을 얻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분명한 것은 그 원인이 무엇이든 정부는 참사를 막아내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유가족들을 따뜻하게 보듬어주지도 못했고 오히려 국민들 편가르기 하면서 유가족들에게 더 큰 상처를 안겼다. 정부는 당연한 책무인 진실규명마저 가로막고 회피하는 비정한 모습을 보여줬다”고 했다.

‘찬호 아버지’ 전명선 세월호 가족위원회 운영위원장은 문 대통령에게 “무엇보다 4·16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과 그에 따른 응당한 책임자 처벌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며 “박근혜 정부가 불법부당하게 자행한 수사방해와 은폐·조작 행위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그 어떤 영향도 받지 않는 강력한 법적 조사기구를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 위원장은 이어 “그것은 바로 2기 특별조사위원회의 재건을 말한다”며 “최근 정부 차원의 조사기구를 논의하며 노력해왔던 취지와 힘을 온전히 2기 특조위에 집중시켜 독립적이고 강력한 법적 권한을 가진 국가 차원의 조사기구로서 2기 특조위가 진상을 제대로 밝혀나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협조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가고자 하는데 당연한 일인진대 지금도 우리 아이들은 자신이 살던 고향 안산으로 다시 돌아가지 못한 채 다른 지역에 흩어져 있다”며 “5·18의 아픔을 간직한 5월의 광주가 곧 민주화의 성지로 승화됐듯이, 자기 고향 안산으로 돌아온 우리 아이들과 함께 안산은 4·16 안전공원의 건립과 함께 안전생명의 교육도시로 거듭나야 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면담 초반 침통한 표정이었고 눈시울이 붉어지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가족들과 인사를 나눈 뒤 “미수습자 수습이 끝나면 세월호 가족들을 청와대로 한 번 모셔야지 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려서 수색 작업 중에 이렇게 모시게 됐다”고 미안해 했다.

세월호 가족들은 박근혜 정부 내내 정부 탄압 속에 억눌린 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유민 아빠’ 김영오씨는 문 대통령을 만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에) 이렇게 쉽게 들어올 수 있었는데, 아무 것도 아니었는데…”라며 “우리가 그동안 얼마나 애썼느냐. 3년이나. 노숙하고 단식도 하고 그렇게 만나달라고 (청와대) 분수대 앞 광장에서 시위하고 정말 빌었다. 지금은 그 응어리가 모두 터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세월호 가족들이 청와대를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두번째다. 세월호 사건 한달을 맞은 2014년 5월16일 17명의 유족 대표가 청와대를 방문해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만나 약 1시간30분 대화를 나눴다.

박 전 대통령은 세월호 사건에 대해 사과하고 안산 합동분향소를 찾기도 했지만, 이후 태도를 바꿔 세월호 가족들을 한 번도 만나지 않았다.


Today`s HOT
정부 원주민 정책 비판하는 뉴질랜드 시위대 타히티에서 서핑 연습하는 서퍼들 뉴욕 법원 밖 트럼프 지지자들 중국-아랍국가 협력포럼 개최
abcd, 스펠링 비 대회 셰인바움 후보 유세장에 모인 인파
의회개혁법 통과 항의하는 대만 여당 지지자들 주식인 양파 선별하는 인도 농부들
남아공 총선 시작 살인적 더위의 인도 이스라엘 규탄하는 멕시코 시위대 치솟는 아이슬란드 용암 분수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