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안동 임청각은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상징'

안동 임청각은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상징'
▲ 일본 제국이 지난 1942년 중앙선 철도를 부설하면서 독립운동가 석주 이상룡 선생의 생가인 임청각(99칸) 일부를 무참히 파괴해 지금은 50여칸만 남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15일)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경북 안동 임청각을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주(상류층의 도덕적 의무)를 상징하는 공간'이라 거듭 극찬하면서 임청각(보물 182호)의 역사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안동시 법흥동 법흥교 옆에 있는 임청각은 세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의 여섯째 아들 영산현감 이중공과 형조좌랑을 역임한 이중공의 셋째 아들 이명이 1519년 건축한 조선 중기 별당형 정자입니다.

영남산 기슭 비탈진 경사면을 이용해 계단식으로 기단을 쌓고 99칸을 배치한 살림집으로 지었습니다.

대청에 걸려있는 현판은 퇴계 선생 친필로 알려졌습니다.

5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임청각이지만 정작 주목받아야 할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대한민국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 1858∼1932) 선생의 생가이며 석주 선생을 비롯한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한 고성 이씨 가문의 종택입니다.

이 중에는 석주 선생의 두 동생과 아들, 손자, 조카 등이 있습니다.

석주 선생은 경술국치 이듬해인 1911년 1월 식솔들을 이끌고 임청각을 떠나 기약 없는 만주 망명길에 올라 독립운동에 여생을 바쳤습니다.

국내에서 의병투쟁과 애국계몽운동을 해봤지만, 그 방식으로는 도저히 일제를 이기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습니다.

학식이 풍부하고 재산이 많은 석주 선생이었지만 부귀영화를 걷어차고 국난 극복의 선봉에 섰습니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전답은 물론이고 99칸짜리 임청각까지 처분해 독립운동 자금으로 썼습니다.

일제는 독립운동 성지나 다름없는 임청각의 정기를 끊으려고 마당 한가운데로 중앙선 철길을 내고 행랑채와 부속건물 등 50여 칸을 뜯어내 오늘의 어색한 모습을 갖게 됐습니다.

선생이 서간도에서 독립단체 통합 노력에 주력하다가 1932년 유명을 달리하자 가문도 혹독한 시련을 겪었습니다.

석주 선생의 손부 허은(1907∼1997)여사 슬하 7남매 중 장남은 일본강점기 경찰에 끌려가 고문 후유증으로 숨졌고 둘째, 셋째, 넷째는 실종되거나 사고로 숨지는 등 대를 잇는데도 상당한 고초를 겪어야 했습니다.

허은 여사는 훗날 회고록에서 "(나라에)억울한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남 앞에 비굴함 없이 당당하게 살아가는 아이들을 보며 그래도 선대의 긍지가 그들 핏속에 자존심으로 살아 있구나 싶다"고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임청각을 방문, "안동이나 유교라고 하면 보수적일 것이라는 선입견이 있는데, 안동지역에서는 독립운동이 활발했다"면서 "(이들은)혁신 유림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특히 호남 출신인 이낙연 국무총리는 영남과 유교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영남 유림 뿌리를 찾아 경의를 표하기 위해 지난 10일 임청각을 찾아 "대통령께 경북으로 휴가를 간다고 보고드렸더니 '안동으로 가보라'고 말씀하셨다"며 "제 발로 왔지만, 대통령 분부를 받고 온 것과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항증 고성 이씨 종손 등에게 임청각 복원 및 소유권 정리에 관해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항증 종손은 "임청각 주변이 철도 등으로 막혀 있어 안동 사람 중에도 입구를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며 임청각 복원 및 입구 정비 필요성을 강조했고, 이 총리는 "대통령이 의원 시절이던 지난해 임청각을 찾아 복원 등과 관련해 하신 약속을 잘 알고 있다"고 지원 의사를 내비쳤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