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문재인정부 100일] 공정 외치다...프로야구 환부 도려낼까


입력 2017.08.15 09:22 수정 2017.08.15 09:23        데일리안 스포츠 = 김평호 기자

‘국민스포츠’ 프로야구, 각종 비리에 연루되며 큰 실망감

칼 뽑은 문체부, 검찰 수사 의뢰로 환부 도려내기 본격화

소문난 야구광으로 알려진 문재인 대통령이 프로야구의 비리를 척결하는 데 앞장설지 귀추가 주목된다. ⓒ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국민들 앞에서 공정한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문재인 정부는 최근까지 비리 의혹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프로야구와 KBO에 경종을 울릴 수 있을까.

지난해 관중 800만 시대를 연 프로야구는 이제 1000만 관중 시대가 도래했다. 지난 2013년 막내 구단 kt위즈가 창단하면서 KBO리그는 드디어 염원하던 10구단 체제가 열렸다. 또한 국내 최초로 서울에 고척돔이 들어서며 이제는 날씨와 상관없이 야구를 관람할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이 조성됐다.

다만 ‘국민스포츠’라는 위상에 걸맞지 않게 프로야구는 최근까지 승부조작, 도박, 금품수수 등 각종 비리에 연루돼 큰 실망감을 안겼다.

지난달에는 두산 베어스의 김승영 전 사장이 심판에 돈을 건넨 정황이 드러나 충격을 안기기도 했다. 결국 김 전 사장이 물러나기로 결정하면서 우선적으로 사건이 일단락됐지만 낮은 윤리의식과 도덕성 결여 등 고질적인 병폐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또 다시 비리가 일어나지 말란 법은 없다.

결국 곳곳에 도사린 각종 비리, 부정부패를 송두리 채 뽑아내기 위해서 이제는 문재인 정부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야구광’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까

문체부는 최근 언론에서 제기된 프로야구 입찰비리, 두산과 심판 간 돈거래 은폐 의혹과 관련해 KBO 관계자들에 대한 검찰 수사를 의뢰했다. ⓒ 연합뉴스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은 공정하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약속했다. 실제 후보자 시절 ‘공정한 스포츠 생태계 조성’ 등 체육 관련 공약을 내걸었다.

이는 정부의 체육 관련 과도한 개입을 줄이지만 체육계 스스로 공정한 생태계를 유지 및 관리하지 못한다면 직접 나설 수밖에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문 대통령은 잘 알려진 ‘야구광’이기도 하다.

지난 2012년 당시 민주통합당 대선주자였던 문 대통령은 김성근 전 한화 감독이 사령탑으로 있던 독립구단 고양 원더스를 방문해 화제를 모은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김성근 감독의 펑고를 직접 받으면서 뛰어난 야구 실력을 과시하기도 했다.

또한 잘 알려진 대로 문 대통령은 경희대 재학 시절, 학년 대항 야구 대회에서 주장을 맡아 팀을 우승으로 이끈 경력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지난 선거운동 기간에는 한때 프로야구를 풍미했던 해태와 롯데의 올드 유니폼을 입는 등 야구를 통해 지역민들에게 다가가기도 했다.

현재는 처리해야 할 사안이 워낙 많고, 내년에 개최되는 평창올림픽이 임박함에 따라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야구에 대한 애정이 있기에 계속 현재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프로스포츠계에도 공정함과 정의가 반드시 살아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야구광’ 문재인 대통령의 향후 행보에 국민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칼 뽑은 문체부, 프로야구 비리 척결 본격화

문체부는 최근 프로야구와 KBO의 비리 수사를 위해 본격적으로 칼을 빼들었다. ⓒ 연합뉴스

이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최근 프로야구와 KBO의 비리 수사를 위해 본격적으로 칼을 빼들었다.

문체부는 최근 언론에서 제기된 프로야구 입찰비리 의혹과 관련해 KBO 관계자들에 대한 검찰 수사를 의뢰했다. 자체 조사결과 KBO의 2016년 중국 진출 사업에서 담당자 강모 팀장이 가족회사인 A사의 낙찰을 위해 입찰 과정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미 일부 언론을 통해 중국 진출 사업 입찰 비리는 사실로 드러난 가운데 두산과 심판 간 돈거래 은폐 의혹 역시 현재 검찰 수사가 계속 진행 중에 있다.

앞서 문체부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지난 3월 열렸던 KBO 상벌위원회 관련 자료를 요청했고, 해당 사안 역시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문체부는 “기본적으로 그 동안에는 정부가 연맹의 상벌위원회 내용도 모르고 관여하면 안 됐다. 하지만 심판 매수 건은 명백한 국민체육진흥법 위반 사항”이라며 철저히 진상규명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체부 관계자는 “검찰 수사가 아직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수사 결과가 발표되면 곧바로 후속 조치가 들어가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검찰 뿐 아니라 문체부 역시 새로운 위법 사실이 드러날 경우 이에 합당한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정부의 프로야구 ‘환부 도려내기’ 작업이 과연 공정사회 구현이라는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김평호 기자 (kimrard16@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