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17만원, 삿포로 13만원.. 휴가 海外가는 이유 있었네

양승주 기자 2017. 8. 8. 03: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외여행 해마다 신기록 행진.. 국내외 여행 경비 비교해보니]
- 2박 3일 삿포로 다녀온 회사원
초밥 8접시·생맥주1잔, 2만8000원.. 부산서 먹었다면 4만2000원 내야
- '7말 8초' 휴가 몰리는 한국
성수기 바가지 요금 유독 심해..
숙소도 '싸구려' 아니면 '고급', 중간급 호텔 절대적으로 부족

올해 휴가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해외로 떠나는 사람은 모두 282만명(예측치). 해마다 신기록을 경신 중이다. 이전 해외여행은 돈을 모아 '큰맘' 먹고 떠나는 것이었다. 최근엔 "국내 여행할 돈으로 해외 간다"는 사람들이 많다. 국내 여행비가 그만큼 비싸진 것이다. 최근 부산과 일본 홋카이도, 베트남 다낭 등 국내외 인기 여행지의 숙박비와 음식값 등을 실제 비교해 봤다.

◇부산 갈 돈이면 삿포로 간다

대기업에 다니는 김상민(28)씨는 지난달 말 2박 3일간 일본 홋카이도(北海道)를 다녀왔다. 인천에서 삿포로까지 저비용 항공사(LCC)를 이용했다. 출발 2주일 전 예약한 왕복 항공료는 약 23만원. 삿포로역 근처 4성급 호텔의 하루 숙박료는 13만3000원이었다. 도착 첫날 점심은 신치토세(新千歲) 공항 내 일본 라멘 가게에서 7900원(780엔)짜리 시오라멘(소금라면)을 먹었다. 삿포로 'JR타워'에 입장료 7300원(720엔)을 내고 올라가 시내 전망을 감상했다. 저녁은 오타루의 유명 회전초밥집 '와라쿠'에서 한 접시당 1420 ~4820원(140~474엔)인 초밥 8접시와 생맥주 1잔을 먹고 2만8000원(2783엔)을 냈다. 여행 첫날 든 경비는 항공권 값을 빼면 숙박비 포함 약 20만원. 김씨는 "대중교통비가 한국보다 비싸지만, 먹는 건 오히려 싼 것 같다"고 했다.

김씨의 일본 여행과 비슷한 수준으로 8월 초 성인 1명이 한국 부산과 베트남 다낭에 가는 데 드는 비용을 각각 내봤다. 저비용 항공사로 김포~부산 왕복 항공권은 16만6000원, 다낭은 38만3000원에 살 수 있었다. 해운대구 4성급 호텔 일반실은 하루 16만9400원으로 삿포로(13만3000원)보다 비쌌다. 다낭의 4성급 호텔은 하루 7만원. 2박만 해도 숙박비로 부산과 다낭의 항공료 가격 차이를 거의 뽑는 셈이다.

일본 라멘에 비견(比肩)할 만한 부산 밀면은 평균 6000원. 다낭의 쌀국수는 2000원(4만동)이다. 부산의 한 회전초밥집 가격은 한 접시당 1800~7000원이다. 저녁으로 중간 가격(4400원) 초밥 8접시와 생맥주 1잔을 먹을 경우 4만2200원을 내야 한다. 같은 양의 초밥과 생맥주를 마신 김씨의 삿포로 저녁 한 끼보다 1만4200원이 더 나왔다. 다낭 시내 고급 음식점에서 반쎄오(베트남식 부침개)와 짜조(만두), 생맥주 1잔을 먹으면 한화로 약 1만2700원쯤 한다.

여행객이 많이 찾는 다른 메뉴의 가격도 한·일 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 삿포로 지역에서 제조해 판매하는 '삿포로 클래식'은 1잔에 5100원(500엔), 부산의 수제 맥주는 약 6000~7000원이다. 장어덮밥(히쓰마부시)은 삿포로 2만9900원(2937엔), 부산 2만9000원이었다.

이는 객관적으로도 비교된다. 각국 여행 경비를 비교해주는 '당신의 여행경비(Budget your trip)' 사이트에서 숙박비·교통비·식비 등을 포함한 한국의 하루 평균 여행 경비는 1인 기준 약 11만9000원이다. 일본(12만9700원)보다 1만원 덜 들고, 베트남(약 4만5300원)의 두 배가 넘는다.

◇바가지 물가에 중간급 없어

한국의 휴가철 여행 경비가 비싸진 것은 최근 기본적으로 물가가 오른 것이 가장 큰 이유다. 하지만 휴가철만 되면 되풀이되는 '바가지 물가'와 '중급(中級) 서비스'가 없는 점이 꼽힌다. 김영주 한국관광공사 홍보팀장은 "성수기에 요금이 오르는 것은 전 세계적 현상이지만, 유독 한국이 심하다"며 "휴가가 특정 시기에 몰리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국은 학교·학원 방학과 공장 휴무일이 '7말 8초(7월 말~8월 초)'에 집중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설문에 따르면, 이 2주일 동안 휴가를 떠나는 비중이 62.5%에 달한다.

한국의 서비스가 '싸구려' 아니면 '고급'으로 양극화된 것도 이유 중 하나다. 이유현 한태교류센터(KTCC) 대표는 "일본이나 태국은 숙박시설이 게스트하우스부터 6성급 호텔까지 다양한 반면, 한국은 콘도와 펜션 정도를 제외하면 중간급 호텔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했다.

부산이나 동해안, 제주도 등 특정 여행지에 사람이 몰리는 것도 피서지 물가가 비싼 이유다. 김남조 한양대 관광학과 교수는 "일본과 동남아 국가는 오랜 기간 외국인 관광객을 상대하면서 다양한 관광지를 개발했고, 지역끼리 경쟁하며 합리적 가격을 유지한다"고 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