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기영 혁신본부장 인선에 과학기술계 비판 ‘기류’
- 박기영, 황우선 전 교수로부터 2억5000만원 지원받아
- ”혁신과 거리 멀어“


[헤럴드경제] 7일 과학기술혁신본부의 수장으로 박기영(59) 순천대 생물학과 교수가 임명된 데 대해 상당수 과학기술계 인사들은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내에 차관급 조직으로 신설된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에 대한 예산 심의ㆍ조정 권한을 행사하고 연구성과를 평가하는 명실상부한 과학기술 정책 집행의 ‘컨트롤타워’다.

과기계 인사들은 무엇보다 2005∼2006년 불거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논문조작 사건 당시 연구윤리 문제와 연구비관리 문제로 물의를 빚은 전력을 지적했다.

서울 소재 사립대의 한 교수는 “박 교수가 황(우석) 박사 논문에 이름을 올린 일을 해명하던 것이 떠오른다”며 “이런 인사를 본부장으로 임명한 것은 새 정부가 ‘탈(脫)과학기술’을 바라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마저 들게 한다”라고 말했다.

박기영 본부장은 당시 논문 내용에 기여한 바 없이 공저자로 이름을 올린 사실과 전공(식물생리학)과 별다른 관계가 없는 과제 2건으로 황 전 교수로부터 연구비 2억5000만원을 지원받은 사실 등이 드러났으나, 처벌이나 학교 차원 징계는 받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공개 사과도 하지 않고 순천대에 복직했다.
<사진> 박기영 혁신본부장

당시 서울대ㆍ한양대 등은 조작 논문에 공저자로 참여한 교수들에게 연구윤리 위반이나 연구비관리 책임을 물어 예외 없이 중징계나 권고사직 등 조처를 내렸다.

과기정통부 산하기관의 한 연구원은 박 교수의 혁신본부장 임명을 ‘올드보이의 귀환’이라고 표현하며 “새 정부가 ‘혁신’을 외치면서 참여정부 인사를 그대로 앉혔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산하기관의 연구원 역시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하는데, 새 정부의 ‘혁신’과는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한편으로 새 본부장에 기대를 표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국립대 교수는 “현재 과학기술계에는 숙제가 꽤 있는데, 변화를 위해서는 공무원이나 대표 과학기술자를 쓸 수는 없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들을 제외하고 (인재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 (박 본부장이) 잘 해 나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 사립대 교수는 “4차 산업혁명 대비 기술로 AI(인공지능) 등 정보통신기술(ICT)이 주로 부각됐는데, 박 신임 본부장이 생명공학기술(BT)에도 무게를 실어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