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을은 무슨"…올해 입추, 관측 사상 5번째로 더워
- 전국 평균 낮 최고기온 33.8도
- “지구온난화로 갈수록 더워”


[헤럴드경제] 입추(立秋)인 7일 전국의 평균 낮 최고기온이 관측 이래 5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하면서 가을로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입추에도 펄펄 끓는 가마솥 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전국 45개 주요 관측소의 평균 낮 최고기온은 33.8도였다. 이는 2015년도 입추 날과 같은 기록이다.

45개 지점에서 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래 2006년 입추 날이 34.6도로 가장 더웠고, 2013년 34.3도, 1994년ㆍ2016년 34.2도, 1982년 33.9 순이었다. 올해 입추의 낮 최고기온은 역대 5위인 셈이다.

강수량 등 여러 요소에 따라 입추 당일의 낮 최고기온이 변하기는 하지만, 최근들어 입추 날 평균 최고기온은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입추의 전국 평균 최고기온은 1991∼2000년 29.8도였지만 이후 10년간 30.6도로올랐고, 2011년부터 올해까지 7년간에는 32.2도로 상승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원래 입추 때가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와 맞물린다”면서 “태양의 고도각이나 낮이 가장 길 때는 6월 하순의 하지(夏至)지만 이후 땅이나 대기가데워질 때까지 시간이 걸려 입추가 있는 8월 상순이 가장 덥다”고 설명했다.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추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24절기에 속한다. 단순히 태양의 위치만을 고려해 정한 만큼, 다른 기상·과학적 요소를 배제했으므로 더위를 잘 반영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입추 날의 더위가 해를 거듭할수록 기승을 부리는것은 사실”이라며 “입추 날 하루만으로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전체적으로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지구 온난화로 모든 곳의 대기가 뜨거워지다 보니 언제 어디서 바람이 불어오든 갈수록 더워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