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9월까지 사물인터넷 취약점 집중 신고 기간 운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터넷진흥원이 스마트홈 기기를 노린 보안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9월까지 '사물인터넷(IoT) 보안취약점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인터넷진흥원은 소프트웨어(SW) 신규 취약점 신고포상제(버그바운티)의 일환으로 드론, AI스피커, 스마트홈 기기 등의 최신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주는 신규 보안취약점 신고를 받는다고 1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드론, AI스피커, 스마트홈 기기 등 신규 취약점 신고 시 포상금 지급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인터넷진흥원이 스마트홈 기기를 노린 보안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9월까지 '사물인터넷(IoT) 보안취약점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한다.
인터넷진흥원은 소프트웨어(SW) 신규 취약점 신고포상제(버그바운티)의 일환으로 드론, AI스피커, 스마트홈 기기 등의 최신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주는 신규 보안취약점 신고를 받는다고 1일 밝혔다. 스마트홈 기기는 스마트 TV,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밥솥, 홈 컨트롤러 등을 포함하며 국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인터넷진흥원은 신고 기간 동안 다양한 IoT 기기에 대한 신규 보안 취약점을 접수 받아 영향도를 분석·평가하고 관련 제조사에는 취약점 해결조치를 요청한다. 신고 당시 보안 업데이트가 나오지 않은 소프트웨어 취약점 중 실제 공격에 악용될 경우 다수의 국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건에 대해 30만원에서 500만원까지 신고 포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다만 실제 서비스 중인 웹사이트나 시스템(서버, 네트워크, 보안장비 등)에 특정 데이터를 전송해 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서비스 취약점은 평가·포상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제71조 제 10호 및 제40호 제3항에 의거해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취약점 신고·접수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보호나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동근 KISA 침해사고분석단장은 "KISA는 IoT 침해사고 예방을 위한 버그바운티 활성화 이외에도 IoT기기 보안시험 확대, 2017 해킹방어대회에 추진되는 IoT 보안취약점 찾기 행사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IoT 융합보안 내재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평균 '8500만원'인데 해외에선 '1억' 더 받는다고?…원전 인력 이탈 비상 - 아시아경제
- "머리 진짜 잘 썼네"…500개 이름 넣었더니 '대박' 매출 3배 폭등한 '이 과자' - 아시아경제
- 삼성 세탁가전 쓰면 전기료 '0원' 파격혜택…'이 나라'서 무슨 일이 - 아시아경제
- "괜찮은데?" vs "출근용이 11시부터?"…SNS 터진 한강버스 후기 - 아시아경제
- "우리 엄마보다 젊어보여"…93세 이길여 총장 놀라운 근황 - 아시아경제
- 이승기 성북동 주택, 시세 100억 넘어… 5년만에 50억 올랐다 - 아시아경제
- "어쩐지 배 안 차더라" 양 줄이고 가슴살 섞고…꼼수로 가격 인상한 교촌 - 아시아경제
- 매달 9만원만 넣으면 평생 연금 2배?…돈 없는 학생들, 고민 깊어졌다 - 아시아경제
- 러시아보다 더 두렵다…3조 들여 만든 '특수부대'의 진짜 표적은? - 아시아경제
- "추석 연휴 길어서 더 무서워요"…71만원 지출 앞에 지갑은 '비명'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