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7일 집행유예 선고를 받은 뒤 석방돼 구치소를 나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7일 집행유예 선고를 받은 뒤 석방돼 구치소를 나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징역 3년을 선고받고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무죄를 받은 것에 대해 문화예술계가 아쉬움을 표출했다. 블랙리스트 파동을 겪었던 문화예술계는 27일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조윤선 전 장관 등에 내려진 판결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원재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은 이날 "재판 과정에서 블랙리스트에 연루됐다는 구체적인 증거까지 나왔는데 조 전 장관의 위증 혐의만 유죄로 판단돼 아쉬움이 크다"고 전했다.

31일 출범하는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에 참여하는 이 소장은 "법원이 단순이 지원 배제만 문제 삼았는데, 국민의 표현자유와 국민의 문화향유권에 대해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징역 3년을 부여 받은 김기춘 전 실장에 대해서도 "반성의 기미가 보이지 않았는데도 형량이 너무 낮다"고 말했다.


검열백서위원회 기획위원인 김소연 연극평론가도 조 전 장관이 블랙리스트와 관련 무죄를 받은 것에 대해 "분노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평론가는 조 전 장관이 박근혜 정부에서 정무수석을 지낸 것을 꼬집으며 "예술정책에 대해서 사실상 통제를 주도한 자리인데, 공무를 본 사람으로서 엄중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문화예술계 조직 중 하나인 서울연극협회 송형종 회장은 "그간 연극인들이 받은 고통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문화예술계는 검찰이 항고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놓는 등 블랙리스트에 더 적극적으로 대처해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연극협회는 자체적으로 '박근혜 서울 연극 탄압 피해 보상 대책위'(가칭)를 꾸려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