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쇼통'이 무섭다

박재범 정치부장 입력 2017. 7. 25. 07:14 수정 2017. 7. 25. 07: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다음날, 청와대 인선과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

오히려 '쇼통'이 놀랍고 무섭다.

청와대 경호실장은 문 대통령에게 교포들이 회담장 밖에서 기다리고 있다는 상황을 설명한다.

청와대 일과가 끝날 전해지는 문재인 펀드 청산 뉴스, 문 대통령의 반려견 소식 등은 공식 브리핑이 아닌 페이스북에서 듣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다음날, 청와대 인선과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 '홍보수석'을 임명하며 명칭을 '국민소통수석'으로 바꾼다. 속으로 웃었다. “소통을 강조한다고해서 굳이 직책 이름에 소통을 붙일 것까지 있나”. 혁신, 녹색, 창조 등 좋은 단어들이 정권을 거치며 희화화된 것을 지켜본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소통’ 아닌 ‘쇼통’ 정부라는 비꼼이 따라붙는다. ‘보여주기(show)’에만 능하다는, 내용은 없다는 비판이다. 난 솔직히 이 비아냥에 동의하지 않는다. 오히려 ‘쇼통’이 놀랍고 무섭다.

우선 ‘쇼통’은 감성적이다. 감성을 건드리는 것 만한 소통법은 없다. 무엇이 감성적인지 감성적으로 알고 접근한다는 이유에서다. 요샛말로 ‘느낌적인 느낌’이다. 누군가의 기획과 연출, 각본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몸이 알고 있다. 문 대통령이 메르켈 독일 총리와 회동 후 걸어가 베를린 교포를 만난 현장을 보자.

청와대 경호실장은 문 대통령에게 교포들이 회담장 밖에서 기다리고 있다는 상황을 설명한다. 차에 타기 전 손 한번 흔드는 정도의 반응을 기다린 보고였다. 문 대통령은 아예 교민들이 모인 곳으로 갈 마음을 먹는다. 그리곤 메르켈 총리에게 양해를 구한다. 메르켈 총리는 “그들도 독일 국민”이라고 말한 뒤 문 대통령과 동행한다. 문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 경호실장 모두 ‘느낌적인 느낌’으로 소통을 고민한다. 그 결과 멋진 ‘쇼통’이 만들어진다. 여기까진 새롭고 놀랍다.

무서운 것은 쇼통의 다양한 방식이다. 문 대통령과 메르켈 총리가 교포를 만나는 장면은 동영상으로 공유된다. 청와대 참모의 설명, 현장 분위기를 담은 자료 등은 없다. 분위기를 전달할 사진이 있으면 그대로 올린다. 청와대 홈페이지는 그다지 중요한 곳이 아니다. 공식 보도자료 등을 올리는 e춘추관도 마찬가지다. 문재인 정부는 이곳을 ‘제한적’으로 이용한다. 사진과 동영상은 페이스북, 트위터에 올리고 공유된다.

박근혜 정부때 설치된 문서 감지기 철거 장면은 페이스북 동영상으로 국민 모두가 접한다. ‘청와대→보도자료→브리핑→기사→독자’의 문법을 따르지 않는다. 대선 때부터 그랬다. 현안에 대한 입장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올렸다. 마크맨들에게 휴대폰 전화통화보다 페이스북 ‘새로고침’이 더 중요한 업무였다. 지금 청와대 출입기자들도 마찬가지다. 청와대 일과가 끝날 전해지는 문재인 펀드 청산 뉴스, 문 대통령의 반려견 소식 등은 공식 브리핑이 아닌 페이스북에서 듣는다.

다양한 플랫폼은 국민과 직접 소통을 꾀하는 문재인 정부에게 축복이다. 사실 대국민 직접 접촉을 원했던 것은 참여정부다. 언론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됐다. ‘청와대 브리핑’을 만들었고 청와대 수석을 비롯 참모진들은 그곳에 장문의 글을 썼다. 논리적 반박, 이성적 설득을 했다며 자화자찬했고 자족했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이었다. 적을 설득할수록 적만 늘어났다.

반면 지금은 다르다. 언론을 불신하지도, 그렇다고 신뢰하지도 않는다. 특정 언론에 대한 ‘빚’도, ‘악감정’도 없다. 있는 그대로 대한다. 언론을 활용하거나 이용하겠다는 개념도 없다. 기존 언론의 ‘활용’, ‘이용’을 위해 ‘홍보’가 구시대의 접근이었다면 지금은 ‘소통’이 필요했다고 본 것이다.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다양하게 ‘소통’하고 ‘쇼통’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다양한 소통을) 이제 조금씩 시작하려 한다”고 했다. 지금의 ‘쇼통’은 시작도 아니라는 거다.

그래서 무섭다. 정작 언론은, 우리는 촛불 이후 ‘주권자 국민’보다 여전히 정권과 ‘관계’에만 주력하는 것은 아닌지…. 국민과 소통은커녕 계몽이라는 과거 패러다임에 갇혀 있는 게 아닌지…. 언론인으로서, 답답하고 무섭다.

박재범 정치부장 swallow@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