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제헌절…이 시각 국회

입력 2017.07.17 (06:09) 수정 2017.07.17 (09: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 공포를 기념하는 제헌절입니다.

제헌절 경축 행사가 열리는 국회로 가 봅니다.

<질문>
남승우 기자, 오늘 제헌절 경축식, 어떻게 진행됩니까?

<답변>
네, 69년 전 오늘 이뤄진 대한민국 헌법의 공포를 기리는 제헌절 경축식은, 오늘 오전 10시부터 열립니다.

국회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리는 오늘 행사에는, 전·현직 국회의장과 국회의원, 주한 외교사절 등 1,700여 명이 참석합니다.

경축식 뒤에는 '국가원로 개헌 대토론회'도 이어집니다.

이번 행사를 앞두고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지난 12일부터 이틀간 전국의 성인 남녀 천 명을 조사한 결과, 개헌에 찬성한다는 응답률은 75.4%로, 10명 중 7명 이상이 개헌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호하는 정부 형태에 대한 응답률은 국민이 뽑은 대통령과 국회가 선출한 총리가 공동으로 국정을 책임지는 혼합형 정부 형태가 46%로 가장 높았고, 대통령제가 약 38%로 뒤를 이었습니다.

<질문>
제헌절을 맞은 국회, 오늘도 매우 분주하다는데, 어떤 현안들이 있습니까?

<답변>
네, 정부의 11조 2천억 원대 추가경정예산안과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를 위한 국회 본회의가 당장 내일로 다가온 상황입니다.

때문에 국회는, 오늘도 숨가쁜 하루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어제(16일)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추경안 조정소위는, '일자리 창출'이란 용어와, 실제 창출 효과에 대한 자료 제출 부족을 문제 삼은 야당 의원들의 반발로, 시작 50여 분만에 한 차례 정회되는 등 진통을 겪었습니다.

야당 의원들은 만 2천 명의 공무원 추가 채용을 제외한 나머지 사회 서비스 분야의 고용 창출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로 보기 어렵다면서, '일자리 창출' 용어를 써선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여당 의원들은 이번 추경은 '일자리 중심의 추경'이고 일자리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라면서, 폭넓은 마음으로 심의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국회 예결위는 오늘도 조정소위에서 추경안 심사를 이어갑니다.

새 정부의 조직 개편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안도, 내일(18일) 본회의 처리를 목표로 오늘부터 심사가 본격화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 제헌절…이 시각 국회
    • 입력 2017-07-17 06:11:33
    • 수정2017-07-17 09:30:56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오늘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 공포를 기념하는 제헌절입니다.

제헌절 경축 행사가 열리는 국회로 가 봅니다.

<질문>
남승우 기자, 오늘 제헌절 경축식, 어떻게 진행됩니까?

<답변>
네, 69년 전 오늘 이뤄진 대한민국 헌법의 공포를 기리는 제헌절 경축식은, 오늘 오전 10시부터 열립니다.

국회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리는 오늘 행사에는, 전·현직 국회의장과 국회의원, 주한 외교사절 등 1,700여 명이 참석합니다.

경축식 뒤에는 '국가원로 개헌 대토론회'도 이어집니다.

이번 행사를 앞두고 정세균 국회의장실이 지난 12일부터 이틀간 전국의 성인 남녀 천 명을 조사한 결과, 개헌에 찬성한다는 응답률은 75.4%로, 10명 중 7명 이상이 개헌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호하는 정부 형태에 대한 응답률은 국민이 뽑은 대통령과 국회가 선출한 총리가 공동으로 국정을 책임지는 혼합형 정부 형태가 46%로 가장 높았고, 대통령제가 약 38%로 뒤를 이었습니다.

<질문>
제헌절을 맞은 국회, 오늘도 매우 분주하다는데, 어떤 현안들이 있습니까?

<답변>
네, 정부의 11조 2천억 원대 추가경정예산안과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를 위한 국회 본회의가 당장 내일로 다가온 상황입니다.

때문에 국회는, 오늘도 숨가쁜 하루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어제(16일)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추경안 조정소위는, '일자리 창출'이란 용어와, 실제 창출 효과에 대한 자료 제출 부족을 문제 삼은 야당 의원들의 반발로, 시작 50여 분만에 한 차례 정회되는 등 진통을 겪었습니다.

야당 의원들은 만 2천 명의 공무원 추가 채용을 제외한 나머지 사회 서비스 분야의 고용 창출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로 보기 어렵다면서, '일자리 창출' 용어를 써선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여당 의원들은 이번 추경은 '일자리 중심의 추경'이고 일자리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라면서, 폭넓은 마음으로 심의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국회 예결위는 오늘도 조정소위에서 추경안 심사를 이어갑니다.

새 정부의 조직 개편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안도, 내일(18일) 본회의 처리를 목표로 오늘부터 심사가 본격화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