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전동휠에 한강공원 몸살..1년새 적발건수 100배↑

한정선 2017. 7. 17. 06: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4월 서울 반포한강공원에 응급차가 출동했다.

한강공원 내 자전거 사고발생건수도 2014년 244건, 2015년 253건, 2016년 166건을 기록했다.

서울시는 한강공원 내 자전거 속도를 시속 20㎞로 제한하고 있지만 권고사항일 뿐이다.

또 퍼스널 모빌리티의 경우 일정 속도 이하로 운행하면 한강공원 내 자전거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규제를 푸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동휠 등 퍼스널 모빌리티 탑승 적발 건수 급증 추세
자전거 사고 줄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
"공원 내 자전거가 속도 줄일 수 있는 물리적 장치 필요"
서울 반포대교 달빛 무지개 분수에서 시민들이 자전거를 멈추고 더위를 식히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한정선 기자] 지난 4월 서울 반포한강공원에 응급차가 출동했다. 빠른 속도로 자전거를 타던 20대 남성 A씨가 미처 50대 보행자 B씨를 피하지 못하고 치었기 때문이다. A씨가 서울시 권고 속도(시속 20㎞이하)를 지키지 않고 과속한 탓에 B씨는 한동안 병원신세를 질 수밖에 없었다.

◇작년 한강공원 내 퍼스널 모빌리티 탑승 486건 단속…전년비 약 100배↑

한강공원이 자전거 폭주족과 전동휠·전동킥보드 등 ‘퍼스널 모빌리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빠른 속도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과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자들로 많은 시민들이 보행에 불편을 겪고 있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한강공원 내 퍼스널 모빌리티 탑승 단속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단속을 처음 시작한 지난 2015년 5건에 불과했던 단속 건수는 지난해 486건으로 100배 가까이 급증했다. 올해도 5월 말 기준 192건을 적발했다. 지난해 적발 건수의 39.5% 수준이다.

특히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3월 이후 단속 건수가 늘고 있다. 지난 3월말 현재(누적 기준) 48건이던 단속 건수는 4월 105건, 5월 192건으로 집계됐다.

도로교통법상 배기량 125cc 이하의 이륜자동차와 정격 출력 0.59kw 미만의 원동기를 탑재한 ‘원동기 장치 자전거’로 분류하는 퍼스널 모빌리티는 한강공원 내에서 탑승할 수 없다. 이를 어기면 5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퍼스널 모빌리티가 국내에 유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아 2015년부터 단속을 시작했다”며 “최근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단속 건수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의도 한강공원에 단속 전담요원 7명을 배치하고 다른 곳은 2인 1조의 공공안전관이 퍼스널 모빌리티 탑승을 단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전거 폭주족, 안전 위협…자전거 도로 내 과속방지턱 설치 필요

한강공원 내 자전거 과속으로 인한 사고도 여전히 골칫거리다.

자전거 이용인구가 늘면서 관련 사고 건수도 비례해 증가 추세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전국의 자전거 보유대수는 2010년 620만대에서 2015년 1022만대로 64.8% 늘어났다. 같은 기간 자전거 교통사고는 1만 1259건에서 1만 7366건으로 54.2% 증가했다.

한강공원 내 자전거 사고발생건수도 2014년 244건, 2015년 253건, 2016년 166건을 기록했다. 올해는 5월말 현재 31건의 자전거 사고가 발생했다.

자전거 사고가 이처럼 끊이지 않는 것은 관련 규제가 강제력이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한강공원 내 자전거 속도를 시속 20㎞로 제한하고 있지만 권고사항일 뿐이다. 강제성이 없다보니 제한속도를 어긴다고 해도 마땅히 제재 수단이 없어 사실상 단속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과속 방지를 위한 물리적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또 퍼스널 모빌리티의 경우 일정 속도 이하로 운행하면 한강공원 내 자전거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규제를 푸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김영국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단속요원이 자전거 과속과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을 일일이 단속하기는 한계가 있다”며 “자전거도로와 보행자가 만나는 지점에 속도를 내지 못하도록 바닥을 울퉁불퉁하게 하거나 과속방지턱 설치, 직선 구간의 곡선화 등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한정선 (pilgr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