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수능·내신 절대평가로 바꿔야”
교육부 8월 수능개편안 발표 앞두고 다수 여론 공감
2017-07-13 16:19:07 2017-07-13 16:19:07
[뉴스토마토 김의중기자] 국민 10명 중 6명이 수능과 내신 성적 산출방식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꾸는 데 동의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교육공약으로 꼽히는 절대평가 전환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국민의당 송기석 의원은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21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방안’ 토론회를 주최하고, 이런 내용의 한국리서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60.1%가 ‘수능은 절대평가 등급제로 바꾸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절대평가는 변별력 약화로 정시 수능전형이 무력화하기에 현행 평가방식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39.9에 그쳤다.
 
고교내신 절대평가(성취평가제) 전환에도 61.0%가 ‘내신성적 산출방식을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로 변경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현행대로 상대평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39.0%에 불과했다.
 
2021학년도 수능제도 개편은 정부의 최대 숙제다. 정부는 8월 초 수능 절대평가 전환과 고교 절대평가 도입 방안 등 제도 개편 초안을 공개하고 공청회 등 여론 수렴을 거쳐 8월 중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대입을 학생부 교과, 학생부 종합, 수능 위주로 단순화하고 논술과 교과 중심의 특기자전형은 축소·폐지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공약에도 찬성 여론이 많았다. 응답자의 59.8%는 ‘국·영·수 중심의 주요교과 중심의 특기자전형은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수시와 정시 전형을 두고는 ‘수능 위주의 정시전형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56.1%로, ‘학생부 중심의 수시전형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앞섰다. 수시전형 확대에 동의한 응답자의 68.1%는 ‘학생부 중심의 대입전형은 신뢰성과 공정성이 매우 미흡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애초 수시 축소와 정시 확대를 주장했으나, 최근 교육부는 수시 ‘축소’ 대신 ‘개선’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토론회 발제에 나선 안선회 중부대 교수는 “여론은 수능 절대평가 찬성이 더 많지만 절대평가는 수능의 변별력을 약화시켜 사실상 수능 위주 정시전형을 무력화하거나 대폭 축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양영유 논설위원은 “문재인 정부는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해 점수위주의 선발을 지양하고 학생부 중심의 선발로 공교육을 살리고 사교육을 줄이겠다는 구상”이라며 “이는 노무현 정부 때 내신 30%, 50% 반영 강요와 큰 틀에서는 방향성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교총이 교사 2077명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수능 절대평가 전환’에 51.9%가 긍정적, 39.8%는 부정적으로 답변한 바 있다. 절대 평가 전환 찬성자들은 그 이유로 ‘고교 교육 정상화 기여(505명)’, ‘입시부담 완화(307명)’를 꼽았다.
사진/뉴시스
김의중 기자 zerg@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인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