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푸드트럭 일일 체험…상생 방안 위한 토론회도 개최

입력 2017.07.13 (15:45) 수정 2017.07.13 (15: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른정당 의원들이 13일(오늘) 국회에서 푸드트럭 산업의 발전적 상생 방안 마련을 위해 일일 요리사 체험을 하고 간담회를 진행했다.

정병국 의원은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푸드트럭 산업의 발전적 상생방안 마련을 위한 라운드테이블 '푸드트럭, 그린라이트를 켜라!' 를 개최했다.

행사에 앞서 이혜훈 대표와 김무성 의원, 김세연 정책위의장 등 바른정당 국회의원과 청년들이 푸드트럭 시연, 시식행사를 열었다.

정병국 의원은 "장밋빛 희망으로 출발한 '푸드트럭'이 어려운 영업환경으로 '푸어트럭'이 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푸드트럭 관련 제도개선 사항과 산업 활성화, 정부․지자체의 지원방안, 기존 상권과의 발전적 상생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이번 라운드테이블을 마련했다"고 행사 취지를 설명했다.

실제 푸드트럭 산업은 2014년 합법화되고 3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전국 약 2500대(교통안전공단에 등록 푸드트럭 구조변경 1021대와 구조변경 미신고 푸드트럭 추정치 합산)의 푸드트럭 중 11% 정도인 282대(2016년 11월 말 행정자치부 기준)만이 영업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법상 푸드트럭의 영업 가능지역이 도시공원과 관광지, 체육시설 등으로 제한되어 있고, 지자체에서는 기존 상권과의 마찰을 우려해 영업지의 추가선정을 기피하거나 인적이 드문 비상권지역에 푸드트럭 영업지를 선정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푸드트럭의 2조 규모 배달앱 시장 진출 △영업 가능 지역의 제한적 확대 △푸드트럭 아카데미 등 체계적인 창업교육 실시 등 업계 종사자들로부터의 다양한 의견이 수렴됐다.

정 의원은 "푸드트럭은 일자리 창출, 내수 활성화 등을 위한 효과적인 산업"이라며 "앞으로도 기존 상권과의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푸드트럭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바른정당 차원에서 관련 법률을 정비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오늘 라운드테이블에는 정병국 의원을 비롯해 이혜훈 대표와 김무성 의원 등 바른정당 의원들과 한국푸드트럭협동조합, (사)한국푸드트럭협회, 전국푸드트럭소상공인협회 등 푸드트럭 종사자 60여명, 식약처, 국무조정실, 행정자치부, 경기도 등 정부 및 지자체 담당자들이 참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바른정당, 푸드트럭 일일 체험…상생 방안 위한 토론회도 개최
    • 입력 2017-07-13 15:45:28
    • 수정2017-07-13 15:48:58
    정치
바른정당 의원들이 13일(오늘) 국회에서 푸드트럭 산업의 발전적 상생 방안 마련을 위해 일일 요리사 체험을 하고 간담회를 진행했다.

정병국 의원은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푸드트럭 산업의 발전적 상생방안 마련을 위한 라운드테이블 '푸드트럭, 그린라이트를 켜라!' 를 개최했다.

행사에 앞서 이혜훈 대표와 김무성 의원, 김세연 정책위의장 등 바른정당 국회의원과 청년들이 푸드트럭 시연, 시식행사를 열었다.

정병국 의원은 "장밋빛 희망으로 출발한 '푸드트럭'이 어려운 영업환경으로 '푸어트럭'이 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푸드트럭 관련 제도개선 사항과 산업 활성화, 정부․지자체의 지원방안, 기존 상권과의 발전적 상생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이번 라운드테이블을 마련했다"고 행사 취지를 설명했다.

실제 푸드트럭 산업은 2014년 합법화되고 3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전국 약 2500대(교통안전공단에 등록 푸드트럭 구조변경 1021대와 구조변경 미신고 푸드트럭 추정치 합산)의 푸드트럭 중 11% 정도인 282대(2016년 11월 말 행정자치부 기준)만이 영업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법상 푸드트럭의 영업 가능지역이 도시공원과 관광지, 체육시설 등으로 제한되어 있고, 지자체에서는 기존 상권과의 마찰을 우려해 영업지의 추가선정을 기피하거나 인적이 드문 비상권지역에 푸드트럭 영업지를 선정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푸드트럭의 2조 규모 배달앱 시장 진출 △영업 가능 지역의 제한적 확대 △푸드트럭 아카데미 등 체계적인 창업교육 실시 등 업계 종사자들로부터의 다양한 의견이 수렴됐다.

정 의원은 "푸드트럭은 일자리 창출, 내수 활성화 등을 위한 효과적인 산업"이라며 "앞으로도 기존 상권과의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푸드트럭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바른정당 차원에서 관련 법률을 정비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오늘 라운드테이블에는 정병국 의원을 비롯해 이혜훈 대표와 김무성 의원 등 바른정당 의원들과 한국푸드트럭협동조합, (사)한국푸드트럭협회, 전국푸드트럭소상공인협회 등 푸드트럭 종사자 60여명, 식약처, 국무조정실, 행정자치부, 경기도 등 정부 및 지자체 담당자들이 참석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