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날엔 삼계탕···찰떡궁합 재료는?

원기회복엔 인삼, 열이 많은 사람은 황기, 여성에겐 당귀 좋아
  • 등록 2017-07-12 오전 11:29:55

    수정 2017-07-12 오전 11:29:55

[이데일리 최은영 기자]삼복(三伏) 가운데 가장 무더운 여름을 알리는 초복이 찾아왔다. 더운 날씨에 무엇보다 중요한 건 건강관리다. 무더위로 인해 땀을 많이 흘리고 기력도 약해질 수 있어 원기를 보충해주는 보양식을 잘 챙겨먹는 것이 좋다.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먹거리는 삼계탕이다. 삼계탕은 인삼(삼·蔘)과 닭(계·鷄)이 합쳐진 말로, 고려시대 때부터 원기 회복을 위해 먹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여름철에는 더위로 인해 몸이 뜨겁게 느껴지지만 반대로 속은 차가워지고 위장의 소화 기능이 약해지기 쉽다. 삼계탕의 주 재료인 닭고기는 근육 살이 연해 소화 흡수가 잘되고 필수 아미노산과 리놀레산 등 불포화 지방산도 풍부하다. 또 닭과 인삼은 따뜻한 성질을 지닌 식품으로 속이 차가워지는 여름철 원기 회복과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다.

닭고기 전문기업 하림은 초복을 맞아 몸에 좋은 삼계탕이지만 체질에 따라 함께 넣는 약재를 달리 해야 한다며 삼계탕과 궁합이 좋은 재료를 공개했다.

따뜻한 성질을 지닌 인삼과 닭고기는 함께 먹으면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영양을 보충해주므로 지친 몸에 기운을 북돋워 준다. 하지만 체질적으로 열이 많은 사람은 인삼 보다는 황기를 넣거나 차가운 성질인 녹두를 더하는 것이 몸속의 열을 다스리는 데 좋다.

여성의 경우에는 수족냉증, 생리불순, 빈혈, 변비 등에 좋은 당귀가 제격이라고 추천했다.

하림이 밝힌 전통 삼계탕 맛있게 끓이는 법

*재료


영계 1마리, 찹쌀 1/4컵, 인삼 1뿌리, 마늘 6쪽, 은행 4개, 대추 5개, 황기 10g, 대파(5cm) 1대, 황백 달걀지단(사방 5cm) 1개씩, 잣 4~5개, 소금·후추가루 약간씩, 생수 1리터.

*만드는 법

① 닭은 기름기 많은 꽁지 부분을 자르고 찬물에 씻어 핏물을 뺀 다음 건져서 물기를 닦는다.

② 찹쌀은 깨끗이 씻어 1시간 이상 불린 뒤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인삼은 노두(蘆頭) 부분을 자른 뒤 씻어 물기를 닦는다. 마늘과 은행은 껍질을 벗긴다. 대추는 주름 부분까지 구석구석 씻은 뒤 물기를 닦는다. 대파는 송송 썰고 달걀지단은 길이대로 곱게 채 썬다. 잣은 고깔을 떼고 준비한다.

③ 손질한 닭의 배에 찹쌀, 인삼, 마늘, 은행을 채운다.

④ 닭다리를 X자 모양으로 교차한 뒤 면실로 단단히 감아 고정한다.

⑤ 냄비에 물을 붓고 가열해 끓으면 준비한 황기를 넣어 푹 끓인다. 노란색 황기 물이 나오면 황기는 건진다.

⑥ 황기를 끓인 물에 배 속을 채운 닭과 대추를 넣어 끓인다.

⑦ 끓이면서 생기는 거품은 말끔하게 수시로 걷어 내면서 닭이 푹 무르게 익도록 40분 이상 끓인다.

⑧ 닭을 꼬치로 찔러 푹 들어갈 정도로 찹쌀이 완전히 익고 국물이 뽀얗게 우러나면 완성된 삼계탕을 그릇에 담는다.

⑨송송 썬 대파와 달걀지단, 잣을 고명으로 올리고 소금과 후춧가루로 간한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다시 뭉친 BTS
  • 형!!!
  • 착륙 중 '펑'
  • 꽃 같은 안무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