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 폐기 대가로 690조원 요구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 핵 문제가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중요 사안으로 부각된 가운데 북한이 핵을 폐기하게 하려면 어떤 조건을 제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 5월 북한과 중국이 비밀협상을 벌였다는 보도가 나왔다는 점이다.
이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핵 폐기를 조건으로 요구한 돈은 6000억달러, 지금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약 690조원이다.
이 보도는 당시 북한과 중국이 핵 폐기를 놓고 비밀협상을 진행했을 가능성을 시사해 주목을 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 핵 문제가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 중요 사안으로 부각된 가운데 북한이 핵을 폐기하게 하려면 어떤 조건을 제시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지난 5월 북한과 중국이 비밀협상을 벌였다는 보도가 나왔다는 점이다. 이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핵 폐기를 조건으로 요구한 돈은 6000억달러, 지금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약 690조원이다.
이 내용을 보도한 매체는 홍콩의 유력 월간지 쟁명(爭鳴) 5월호였다. 쟁명은 북·중 양국이 지난해 8월부터 핵 폐기를 위한 비밀 협상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중국·미국·일본·러시아·한국이 10년 동안 매년 600억 달러의 무상원조를 제공할 것을 요구했다.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 철회와 북·미 평화협정 체결도 조건으로 내걸었다. 이 조건들이 충족되면 3년 안에 핵무기를 폐기하고 중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중단하겠다는 것이었다.
북한이 북한과 중국, 북한과 러시아 최고지도자가 각각 협약에 서명하는 방법을 원했다는 구체적인 내용도 있었다. 단지 핵을 폐기하는 과정과 방식에 이견이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 보도는 당시 북한과 중국이 핵 폐기를 놓고 비밀협상을 진행했을 가능성을 시사해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중국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공동으로 6000억달러의 원조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할 가능성이 없다며 이 보도를 일축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월 산골서 마이바흐로 미행하다 쾅…가해자는 피해자 여친 남동생이었다 - 아시아경제
- "송파도 제쳤다"… 올해 아파트값 가장 많이 오른 곳 1위는? - 아시아경제
- "한달 3500만원 벌어요"…3억 마이바흐 베이징 택시 놀라운 수입 - 아시아경제
- "얼마나 민폐였으면"…카공족에 작정하고 경고장 날린 스타벅스 - 아시아경제
- "대통령이랑 밥 한 끼 먹을 사람?"…한마디에 76% 폭등한 '트럼프 밈코인' - 아시아경제
- "나이 드니 후회" "지금도 잘 살아"…SNS로 본 딩크족들 속마음 - 아시아경제
- "이러다 굶어 죽는다, 도와달라"...한국 모욕하고 다니던 유튜버 근황 - 아시아경제
- "불 타는 모습 지켜봐" 10년 모아 산 4억짜리 페라리, 인수 1시간 만에 '활활' - 아시아경제
- "미장보다도 훨씬 낫네"… 작년부터 72% 급등, 천장 안보이는 '금값' - 아시아경제
- "마통으로 버텼는데…부고 문자 눌렀다가 5000만원 털렸어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