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박종진 교수 연구팀, '3D프린팅용 전도성 필라멘트'소재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쇄 중 노즐막힘(nozzle clogging) 문제를 해결한 첨단 복합 소재가 전남대학교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박종진 교수 연구팀은 유기 은 고분자 착체 기반으로 3D 프린팅 후 환원공정에 의해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3D 프린터용 전도성 필라멘트 소재를 개발, 최근 학계에 보고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인쇄 중 노즐막힘(nozzle clogging) 문제를 해결한 첨단 복합 소재가 전남대학교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박종진 교수 연구팀은 유기 은 고분자 착체 기반으로 3D 프린팅 후 환원공정에 의해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3D 프린터용 전도성 필라멘트 소재를 개발, 최근 학계에 보고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와 '3D Printing Media Network’를 통해 일반에 공개됐다.
▲논문 원제: Fabrication of Thermally Stable Silver-Organic Complex (TS-SOC) Based Conductible Filament Materials for 3D Printing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의 기초과학연구사업, 한국혁신기술스타트업센터의 ‘한국형 아이코어(Korean I-corps) 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석사과정 졸업생 김태윤 학생이 1저자로, 석·박사통합과정의 김상일 학생이 2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도성 필라멘트는 열적으로 안정한 은·유기 복합 필라멘트 소재(TS-SOC based filament material)로, 3D 프린터를 통해 입체 형상을 출력한 뒤 환원 공정을 사용하면 은 나노 입자(silver-nanoparticles)들을 프린팅 표면에 고르고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도성 퍼콜레이션 네트워크(conductive percolation networks)가 형성돼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기존에 보고된 카본 나노 입자(carbon-nanoparticles) 충전 전도성 복합 소재에서 발생하는 인쇄 중 노즐 막힘(nozzle clogging) 문제와 그로 인한 단락(short-circuit) 현상도 해결할 수 있는 첨단 복합 소재로 평가된다.
박종진 교수는 “전도성 필라멘트를 기반으로 신축성을 30%이상 갖는 소재를 3D 프린터용으로 개발해 인공피부 등 의학 분야와 접목시킨 ‘e-Skin’소재도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노해섭 기자 nogary@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통조림 사 먹었다 전신마비"…캔 열었을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 - 아시아경제
- "금 투자로 17억 대박" 청소부·요리사까지 직원에 보너스 쏜 中사장님 - 아시아경제
- "13만원에 샤워하는 여성 보며 술 마신다"…불법 영업한 日 주점 - 아시아경제
- "56억 재산 마음대로 관리"…유진박, 친이모 횡령 혐의 고발 - 아시아경제
- 산책하다 2000만원 횡재…사탕 포장지인 줄 알았는데 '3.81캐럿' 다이아몬드 - 아시아경제
- 한덕수측, '무임승차' 지적한 김문수에 "자기 얼굴에 침뱉기" - 아시아경제
- 美 30대 여성, 의붓아들과 관계 후 "10점 만점에 7점" - 아시아경제
- 김문수, 단식 권성동 향해 "이재명과 싸워야지 왜 나와 싸워" - 아시아경제
- "물고기 떼가 하늘에서 날아다녀"…카리브해 주민들 '깜짝' 놀라게 한 현상 - 아시아경제
- 나무 뽑히고 탁구공만한 우박 내리고…강풍에 난리난 중국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