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방패'였던 문무일, 검찰개혁 '선봉'에 섰다



법조

    '방패'였던 문무일, 검찰개혁 '선봉'에 섰다

    "조직 안정" 요구한 靑…검찰 내부 설득도 검찰총장의 과제

    문재인 정부의 첫 검찰총장 후보자로 지명된 문무일(56·사법연수원 18기) 부산고검장이 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에 도착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이한형 기자)

     

    검찰총장에 문무일 부산고검장이 4일 발탁되면서 부패척결이라는 검찰 본연의 과제와 함께 검찰개혁의 자칫 걸림돌이 될 내부 반발을 잠재울 역할 역시 그가 맡을지 주목된다.

    기득권 내려놓기에 동의하는 수준을 넘어 검찰 조직이 개혁에 동참하는 설득에 직접 나설지가 문재인정부의 첫 검찰총장으로서 적임자인지 검증하는 인사청문회의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문 후보자 지명 발표 때 "검찰 내부 신망이 두터워 검찰 조직의 조속한 안정과 검찰개혁 소명도 훌륭하게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인선 배경을 밝혔다.

    박상기 법무부장관 후보자 내정 때 "개혁업무를 추진할 적임자로서의 덕목이 최우선 고려됐다"는 설명처럼 청와대 인선 기준은 검찰개혁에 방점이 찍혀있다.

    여기에 조직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청와대가 문 후보자에게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자는 지명 소감에서 "국민 여러분께서 원하시는 것, 형사사법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이 생각하시는 것, 우리나라 시대 상황이 바라는 것을 성찰하고 또 성찰하겠다"고 했다.

    자신을 반성하고 살핀다는 뜻의 성찰(省察)이란 단어를 골라 여론과 시대적 요구는 물론 검찰 안팎의 의견을 존중해 검찰개혁을 신중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미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문 후보자는 기자들과 만나서는 "검찰개혁을 요구하는 국민의 뜻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검찰개혁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사진=자료사진)

     

    그는 지난해 대검찰청이 만든 4대 검찰개혁 TF 가운데 '바르고 효율적인 검찰제도 정립 TF'의 팀장을 맡았다.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검경 수사권 조정 등 검찰개혁 이슈에 대응해 사실상 검찰 내부 논리를 다지는 '방패' 역할이었던 것이다.

    검찰개혁에 대한 이해가 높은 그가 이제는 문재인정부의 검찰 수장으로서 개혁의 선봉에 섰다.

    문재인정부의 검찰개혁을 이끌 '4륜 마차' 가운데 비검찰 출신 조국 민정수석과 박상기 장관 후보자, 검찰 내 '빅2'로 일찌감치 발탁된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과 함께 마지막 자리가 채워진 것이다.

    사법연수원 18기인 문 후보자의 기용은 기수 문화가 강한 검찰 조직의 세대교체를 통한 인적쇄신 카드이기도 하다.

    법무부장관과 검찰총장 후보자 대한 인사청문회가 이달 내 예정된 가운데,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쯤 검찰 간부 인사를 통해 개혁 작업은 가시화 될 전망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