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장하성 정책실장 "한·미 FTA 재협상 합의한 바 없다"..공동 조사단 제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30일(현지시각) 국내 일부 언론 매체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국이 FTA 재협상을 공식화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장 실장은 "국내 일부 언론 매체에서 이번 정상회담시 한미 양국이 FTA 재협상에 합의했다거나 재협상을 공식화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사실과 다르다"면서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큰 규모의 무역적자와 자동차 철강 무역불균형에 문제제기하면서 일정한 조치를 취하거나 새로운 협상을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30일(현지시각) 국내 일부 언론 매체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국이 FTA 재협상을 공식화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장 실장은 “국내 일부 언론 매체에서 이번 정상회담시 한미 양국이 FTA 재협상에 합의했다거나 재협상을 공식화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사실과 다르다”면서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큰 규모의 무역적자와 자동차 철강 무역불균형에 문제제기하면서 일정한 조치를 취하거나 새로운 협상을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한·미 FTA 상호호혜성을 강조했고, 양측 실무진이 한·미 FTA 시행 이후 효과를 공동으로 분석, 조사·평가 할 것으로 제의했다고 전했다.
장 실장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FTA 재협상에 대해 양측 간에 합의한 바 없다”며 “무역과 관련 양국 간은 공동성명에 있는 내용이 전부”라고 재차 강조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미 정상회담 결산]'한미 FTA 재협상' 숙제 떠안았다
- 'LG G6플러스·LG G6 32GB' 국내 출시
- 삼성전자 2분기 실적 '24년 권좌' 인텔 제치고 1위 유력
- [르포]하나금융그룹 '청라 통합데이터센터'를 가다
- 中 마윈의 '마이뱅크', 대형 은행 외면한 소상공인 공략 주효
- 아부다비, 美 '랩톱 기내반입 금지' 면제 첫 도시
- 美 NASA, 영화 '딥임팩트' 현실화 대비 나서..소행성 궤도 바꿔 지구 구한다
- EU, 불공정거래 신속 대응 모색.."구글처럼 8년 끌 수 없어"
- 남성도 여성처럼 가임 연령 있다
- '러 스캔들' 美상원 조사 결과 2~3달 후 윤곽 드러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