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사설] MBC '노동탄압' 철저히 조사해 법대로 처벌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정방송을 요구하는 구성원들에게 탄압의 칼날을 휘둘러 온 <문화방송> (MBC)에 대해 고용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을 시작했다.
문화방송 노조가 고용부에 낸 특별근로감독 신청서에는 53쪽에 걸쳐 100건이 넘는 부당노동행위가 실렸다.
고용부는 문화방송의 부당노동행위를 철저하게 조사해 김장겸 사장을 비롯해 전·현직 경영진 가운데 누구든 노동탄압을 행한 사람은 준엄한 법의 심판을 받도록 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공정방송을 요구하는 구성원들에게 탄압의 칼날을 휘둘러 온 <문화방송>(MBC)에 대해 고용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을 시작했다. 고용부 서울서부지청은 10일까지 근로감독관 8명을 투입해 문화방송의 부당노동행위 실태를 조사한다. 그동안 노조 탄압으로 악명이 높았던 지역 문화방송 가운데 춘천문화방송과 대전문화방송도 각 지역 노동조합이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청을 했다. 고용부는 이 사업장들에 대해서도 특별근로감독 실시 여부를 신속하게 결정하기 바란다.
문화방송은 2012년 ‘공정방송 쟁취 파업’ 이후 김재철-안광한-김장겸 사장으로 이어지는 경영진의 끝없는 보복행위로 최악의 노동탄압 사업장이 됐다. 문화방송 노조가 고용부에 낸 특별근로감독 신청서에는 53쪽에 걸쳐 100건이 넘는 부당노동행위가 실렸다. 노동탄압의 종합보고서라 할 정도로 방대한 내용이다. 2012년 파업 이후 부당해고·부당징계가 71건에 이르고, 부당한 인사로 현업에서 배제돼 ‘유배지’로 쫓겨난 기자·피디가 91명이나 된다. 문화방송 경영진은 구성원들을 향해 탄압의 주먹을 휘두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공영방송의 기본 가치를 짓밟고 문화방송을 반민주적 정권의 부역기관으로 전락시켰다. 문화방송의 국민 신뢰도는 바닥까지 추락했다. 촛불혁명과 정권교체 이후 세상이 바뀌어가고 있지만 문화방송은 과거 권력과의 유착을 통해 자리를 꿰찬 경영진이 여전히 인사와 보도를 멋대로 주무르는 동토의 왕국으로 남아 있다.
문화방송 경영진에게 최소한의 양심이라도 있다면 문화방송이 특별근로감독을 받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 데 대해 사죄하고 스스로 물러나야 마땅하다. 그러나 이들은 “새 정권이 방송 장악을 위해 고용부를 동원했다”느니 “언론노조가 회사를 장악해 노영방송을 건설하려 한다”느니 하며 밑도 끝도 없는 말을 퍼뜨리고 있다. 지금껏 공영방송을 망가뜨리고 구성원들을 무참히 짓밟아 놓은 장본인들 입에서 그런 소리가 나오다니 참으로 역겨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염치도 도리도 모르는 악덕 기업주가 따로 없다.
현행법에는 특별근로감독으로 위법행위가 적발되면 형사처벌까지 할 수 있게 돼 있다. 고용부는 문화방송의 부당노동행위를 철저하게 조사해 김장겸 사장을 비롯해 전·현직 경영진 가운데 누구든 노동탄압을 행한 사람은 준엄한 법의 심판을 받도록 해야 한다. 만신창이가 된 문화방송이 회생하려면 그 길밖에 없다.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주주신청]
[▶ 페이스북][카카오톡][위코노미][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