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상기 “총장 퇴진하면 학교가 피바다가 될 것”발언 파문
동덕여대 이사장 시절 충격발언
본지 당시 대화록 입수

박상기 법무부장관 후보자가 동덕여대 재단 이사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학내분규 중재와 총장퇴진을 요구하러 온 총학생회에 “총장이 퇴진하면 학교가 피바다가 될 것”이라고 발언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학생 기자 해고와 검찰 고발 등 학내 분규에 박 후보자의 책임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30일 헤럴드경제가 입수한 당시 대화록에 따르면, 박 후보자는 지난 2006년 8월 대학 총학생회와의 면담 자리에서 “총학생회의 요구대로 총장이 퇴진하면 학교가 피바다가 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당시 동덕여대는 물가 상승률의 2배 가까운 6%의 등록금 인상률과 총학생회 선거 부정 논란으로 학생들이 총장실을 점거하는 등의 갈등이 계속됐었다.

이에 총학생회와 교수노조 등이 박 이사장의 중재와 학내 현안 해결을 요구했지만, 학교 측은 편파적인 기사를 썼다는 이유로 당시 학보사 기자를 모두 해고조치하고 총학생회를 검찰에 고발했다. 당시 면담에 참여했던 한 동덕여대 교수는 “박 후보자가 사태 해결 의지보다는 자신의 안위를 위한 차기 교무위원 선정에만 관심을 가졌다”며 “제자들에게 ‘피바다’를 언급하며 검찰에 고발조치하는 등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을 벌였다”고 설명했다.

박 후보자의 발언 직후 교수회와 총학생회는 성명을 발표하고 해당 발언을 문제 삼았다. 당시 교수와 학생 등으로 구성된 동덕여대 민주화를 위한 공통투쟁위원회는 “이사장이 ‘피바다’ 발언으로 학교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퇴진을 요구했고, 교수회 역시 기자회견을 열어 “박 이사장이 이사회의 의결사항조차 지키지 않는 등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당시 대학 측의 교수회ㆍ직원노조 탄압의 책임에 박 후보자도 책임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학 노조 관계자는 “학생 고발과 노조 탄압 등은 당시 총장의 이름으로 자행됐지만, 당시 이사장 역시 이를 묵인하고 오히려 옹호했다”며 “당시 총장의 측근인 이사장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많았다”고 말했다. 당시 학생회 관계자는 “제자들을 상대로 피바다를 언급하며 겁을 주는 등의 문제가 생겨 교수들의 성명도 잇따랐다”며 “당시 두 달여 사이에 사퇴와 번복을 반복하는 등의 행동이 문제가 됐다”고 했다. 그는 “제자를 검찰에 고발하고 이사회의 결정조차 멋대로 무시했다”며 “나중에 총학생회에 대한 혐의가 풀리고 나서도 사과는 없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자는 "지난 2004년 교육부 추천 이사로 선임돼 그 때부터 2007년까지 동덕여대 이사장으로 재직하며 그 당시 극심한 학내갈등을 해소하고 학교를 정상화하기 위해 권한 범위 내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 했다"며 "그 밖의 구체적인 내용은 청문회에서 소상히 밝히겠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