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심적 병역 거부' 논의 16년..여전히 감옥 가는 청년들

강버들 입력 2017. 6. 28. 21:5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2001년 '양심적 병역 거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시작된 지 16년이 지났습니다. 종교나 신념 때문에 군 입대를 거부하고 현재 감옥에 있는 청년들이 397명에 이릅니다. 결국 국가인권위원회가 나서서 국방부에 대체 복무 제도 도입을 권고했습니다.

먼저 강버들 기자가 몇몇 사례를 소개해드립니다.

[기자]

오태양 씨는 2001년 12월 입대를 거부하고 대체 복무 제도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특정 종교가 아닌 평화적 신념에 따른 첫 병역 거부였습니다.

그 뒤로 16년, 여전히 많은 청년들은 현실적 불이익과 편견을 감수하고 감옥행을 택하고 있습니다.

김진만 씨는 2014년 밀양 송전탑 행정대집행 현장에서 병역 거부 의사를 굳혔습니다.

시민들에 대한 국가 폭력을 경험하면서 내린 결정이었습니다.

[김진만/지난 4월 수감 : '그래도 남자는 군대에 가야 하지 않느냐, 너 혼자 그런다고 바뀌겠느냐' 그런 질문들이 상처가 될 때도 있고요.]

고민이 깊었지만, 신념을 지키고 결국 수감됐습니다.

[김진만/지난 4월 수감 : 역사를 아주 좋아해서 국사 선생님이 되는 걸 장래 희망으로 삼고 있었고…공직에 취업하는 것은 마음을 접은 상태…]

10여 년 전 같은 선택을 한 임재성 변호사는 병역 기피와 병역 거부가 다르다고 말합니다.

[임재성/변호사 (2005년 수감) : 신념을 지킬 수 있는 다른 방식으로 의무를 수행하겠다는 것이거든요. 군대보다 큰 불이익을 기꺼이 감수한다는 사람을 꼭 감옥에 보내야 하느냐…]

지난해 성인 10명 중 7명이 대체 복무제 도입에 찬성했고 국제 사회의 권고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2008년 제도 도입 검토를 중단한 정부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