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양궁처럼 '한국남자 피아니스트' 전성시대, 왜?

2017. 6. 28. 21: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2015년 쇼팽 콩쿠르에 이어 4년에 한 번 열리는 세계적인 피아노 경연대회 반 클라이번 콩쿠르까지 한국인 피아니스트의 활약이 눈부십니다. 여자골프나 양궁처럼 남자 피아니스트들이 세계무대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상주 기자입니다.

【 기자 】 잔잔한 호수 같은 선율이 갑자기 큰 파도로 변합니다.

곡의 완벽한 해석과 반음의 오차도 없는 기교, 관중을 압도하는 표현력까지.

1962년 시작해 4년마다 열리는 '북미의 쇼팽 콩쿠르' 반 클라이번 콩쿠르 우승자 선우예권입니다.

선우예권은 동료와 편하게 이뤄지는 소통에서 음악적인 영감을 얻었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선우예권 / 피아니스트 - "서로 교류를 많이 하는 거 같아요. 의지를 하고 힘이 됐기 때문에 음악적 영감도 서로 주기도 하고. 술 한 잔 마시면서 얘기를 하는 걸 통해서 깨닫게 되는 것도 있고."

임동혁에 조성진, 선우예권까지.

최근 세계적 피아노 콩쿠르에서 잇따른 한국인의 쾌거는 그동안의 실력이 제대로 평가받는 과정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 인터뷰 : 임동혁 / 세계 3대 콩쿠르 입상 - "동양 애들은 손가락은 잘 돌아가지만, 음악성은 없다는 말처럼 그런 인종차별적인 발언이 없다고 생각해요. 모든 콩쿠르가 다 인터넷으로 생중계되면서 세상이 공평해지고."

'젓가락 문화 때문이다', '교류와 소통의 생활에서부터다'.

한국인의 피아노 연주 능력을 가늠하는 여러 가정 속에, 대한민국은 지금 세계가 주목하는 '피아노 나라'가 됐습니다.

MBN뉴스 이상주입니다. [mbn27@naver.com]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