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재판]청와대 전 행정관 "삼성물산 합병, 대통령 지시 없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관련, 대통령의 지시사항은 없었다는 증언이 다시 한 번 나왔다.
2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재판장 김진동) 심리로 열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전·현직 삼성 임원 5명에 대한 제 32차 공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노홍인 전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은 삼성물산 합병과 관련해 대통령의 지시는 없었다고 증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이재용 부회장 32차 공판, 노홍인 전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실 선임행정관 증인 출석
청와대 개입했다는 특검 주장 다시 한 번 힘 잃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관련, 대통령의 지시사항은 없었다는 증언이 다시 한 번 나왔다. 합병 과정에 청와대가 깊숙이 개입했다는 특검의 주장이 다시 한 번 무산됐다.
2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재판장 김진동) 심리로 열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전·현직 삼성 임원 5명에 대한 제 32차 공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노홍인 전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은 삼성물산 합병과 관련해 대통령의 지시는 없었다고 증언했다.
노 전 행정관은 김기남 전 청와대 보건복지비서관실 행정관에게 지시사항을 전달하면서 대통령 지시라고 말한 적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만약 대통령 지시사항이라고 들었다면 김 전 행정관에서 대통령 지시라고 전달했을 것인데 그러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특검 조사에서 진술한 내용은 김 전 행정관을 신뢰해서 그렇게 말을 했다면 맞을 것이라는 취지였다며 대체적으로 맞지만 대통령 지시라는 언급은 한 기억은 없다고 강조했다.
노 전 행정관은 변호인단이 “김 전 행정관이 법정에서 '언론에서 이슈로 보도되고 있는데 담당비서관실에서 수석에게 보고 한번 없냐'는 이야기를 증인에게 들었다고 증언했다”고 묻자 “대통령 지시 부분에 대해서는 김 전 행정관이 착각한 것이 아닌가 싶다”고 답변했다.
또 최원영 전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의 지시는 통상적인 지시로 이와 관련 수첩을 보여준 적도 없다고 증언했다.
그는 “최 전 수석이 지시하면서 수첩 보여준 적 있나”라는 변호인단의 질문에 “없다”고 답한데 이어 삼성 합병 건에 대한 이슈나 쟁점에 대해서도 “(당시) 메르스에 전념하느라 잘 몰랐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최 전 수석이 지시하면서 사용한 용어가 ‘삼성 합병 건’인지 ‘의결권 문제’인지는 기억나나?”라는 물음에도 “기억나지 않고 언론에 보도된 내용이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또 자신은 당시 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청와대 관계자들이 합병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알지 못하고 경제수석실에서 이 사안을 어떻게 챙겼는지에 대해서도 모른다고 진술했다.
노 전 행정관은 “김 전 행정관에게 자료를 요청해서 보내준 것으로 알지만 이후 어떤 입장이나 조치를 취했는지는 모른다”고 말했다. 이어 김 전 행정관이 백진주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정책과 사무관에게 자료를 요청한 것에 대해서는 “정확안 의도는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자료 요청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s ⓒ (주)데일리안,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재판부 "삼성물산 합병비율, 이번 사건과 무관" 특검에 일침
- 홍완선 "삼성물산 합병, 찬성 강요나 유도 안해"
- 삼성물산 합병비율 "문제 없었다" 증언..특검 주장 힘 빼
- "말 소유권 삼성 입증"..변호인단, 재판부에 의견서 제출
- 최원영 전 수석 "삼성 합병, 대통령 지시·찬성유도 없었다"
- 국민의힘 "이재명, 배우자조차 선거법 못 지켰는데 무슨 자격으로 대통령 도전?"
- 김문수 "계엄으로 고통 겪는 국민께 죄송"…처음으로 사과했다
- 대법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 불출석…법관 출석 여러모로 곤란"
- 곽도원·유아인…배우 리스크 품은 감독들, 침묵 대신 쓴소리와 책임 강조 [D:이슈]
- "5월 중 재개장 가능" 창원시 발표에 또 난처해진 NC 다이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