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이면 열리는 논문, 4시간 직접와서 봐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대는 그동안 재학생뿐 아니라 연회비를 납부한 졸업생도 웹DB(Web DB), 전자저널(e-Journal), 전자책(e-Book) 등의 전자정보를 교외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서비스해왔다.
서울대 관계자는 "졸업생의 학외 접속을 통한 전자자료 구독을 출판사에서 불허하는 상황"이라며 "학외 인증 사용량이 갈수록 폭주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지원 연구 공유하라"..오픈액세스 운동 확산
서울대는 그동안 재학생뿐 아니라 연회비를 납부한 졸업생도 웹DB(Web DB), 전자저널(e-Journal), 전자책(e-Book) 등의 전자정보를 교외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서비스해왔다.
서울대 관계자는 "졸업생의 학외 접속을 통한 전자자료 구독을 출판사에서 불허하는 상황"이라며 "학외 인증 사용량이 갈수록 폭주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런 학교 측 조치 이후 일부 졸업생들이 많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재학 중인 지인의 아이디를 빌리거나 직접 모교를 방문해야 하는 등 불편이 커졌기 때문이다. 연구원 이 모씨(34)는 "논문 한두 편을 찾기 위해 지방에서 서울까지 왕복 네 시간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며 "개인 컴퓨터로 접속하면 5분이면 해결될 문제를 두고 하루를 꼬박 소모하는 날이 많다"고 하소연했다.
연구직에 종사하며 최신 학술논문을 수시로 접해야 하는 졸업생들이 분통을 터트리고 있는 곳은 서울대뿐만이 아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항공대(POSTECH)의 도서관 홈페이지에도 "연회비를 납부할 테니 원하는 졸업생에게만이라도 교외에서 전자저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 달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학교 외부에서 정보의 사용량이 많다고 해서 정보가 고갈되는 것이 아님에도 오프라인으로 직접 학교를 찾아가야 자료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에 합리적이지 않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전문 학술연구에 대한 지원이 대부분 국가의 세금으로 이뤄지고 지식을 전유물이 아닌 공공재로 바라보는 공유경제 시대에 각 분야에 필요한 고급 정보를 차단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에도 장애가 된다는 비판이 많다.
대학 도서관들도 나름 사정은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측은 "전자정보 구독 시 대학 규모나 성격에 따라 금액 차이가 많게는 10배 이상 발생한다"며 "소유권을 쥔 출판사에서는 관련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어 우리도 어쩔 수 없다"고 전했다. 저널 출판사들은 저널을 구독하는 독자층이 "제값을 내고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출신 대학이 아니라 현재 소속된 기업, 공공기관 등에 건의해 비용을 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기업, 기관들이 값비싼 전자저널 구독 비용을 대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주장이 많다. 서정욱 서울대 의대 교수는 "작은 병원이나 작은 회사에서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금액이 전자저널 구독 비용"이라고 말했다.
최근 학자들 사이에 소위 '오픈액세스' 운동이 일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 지원 연구 성과물에 누구든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다. 그러나 정작 이를 돕고 지원해야 할 대학 도서관들이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美 폭격기 B-1B 2대 또 한반도 출격..무슨일이
- 두번째 영장심사 마친 정유라, 얼굴 표정이..
- 김상곤, 교수 시절 사업체 대표 겸직 논란
- 점주가 무슨 죄..가맹점 손해배상 '호식이 방지법'
- 귤·포도·수박 다 오른다..과실물가지수, 4년 만에 최고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