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문정인 "협상은 주고받는 것" 워싱턴발언 재확인

송고시간2017-06-20 00:13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나는 정부서 월급받는 사람 아냐…조언할뿐"

"文대통령 정부의 생각 아냐" 확대해석 경계

뉴욕 토론회에 참석한 문정인 특보
뉴욕 토론회에 참석한 문정인 특보

(뉴욕=연합뉴스) 이준서 특파원 = 미국을 방문한 문정인(왼쪽) 통일외교안보 대통령특보가 19일(현지시간) 뉴욕 아시아소사이어티에서 열린 '한반도 위기-한미동맹의 의미' 세미나에 참석하고 있다. 오른쪽 끝은 대니얼 러셀전 미 국무부 차관보. 2017.6.19
jun@yna.co.kr

(뉴욕=연합뉴스) 김화영 이준서 특파원 = 문정인 외교통일안보 대통령특보는 19일(현지시간) 논란을 빚은 '워싱턴 발언'과 관련해 "협상은 일방적인 게 아니라 주고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세대 명예교수로 있는 문정인 특보는 다만 "교수로서 개인적인 생각일 뿐, 문재인 정부의 생각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와 한미연합훈련을 축소할 수 있다'는 취지의 워싱턴 발언과 관련해 기존 학자적 소신을 재확인하면서도 외교안보 차원의 확대해석에는 선을 그었다.

문정인 특보는 이날 오전 뉴욕 아시아소사이어티에서 열린 '한반도 위기-한미동맹의 의미' 세미나에서 "북핵 해법의 하나로 거론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비핵화한다면 한국과 미국이 다소 물러나는 식으로 협상할 수 있다는 생각도 덧붙였다.

자신의 발언으로 불거진 국내외 파장에는 경계하는 표정도 읽혔다. 한 질문자가 '특보'라고 호칭하자 "특보가 아닌 교수로 불러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문 특보는 "나는 'Special Adviser'(특보)로서 의견을 낼 뿐 정책결정은 별개"라며 "정부에서 월급을 받는 사람도 아니고 정책결정 라인에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미동맹에 대해 조언할 뿐으로 결정은 청와대에서 한다"며 "한국 언론이 이 부분에서 헷갈리고 있다. 헷갈리지 말라"고 거듭 강조했다.

'워싱턴 발언'과 관련해 청와대로부터 경고를 받았느냐는 질문에는 "노 코멘트"라고 답했다.

지난 13일 미국 방문길에 오른 연세대 특임 명예교수인 문 특보는 지난 16일 한국 동아시아재단과 미국 우드로윌슨센터가 워싱턴DC에서 공동주최한 세미나 기조연설 및 문답을 통해 북한이 핵·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미국의 한반도 전략자산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축소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뉴욕 토론회에 참석한 문정인 특보
뉴욕 토론회에 참석한 문정인 특보

(뉴욕=연합뉴스) 이준서 특파원 = 미국을 방문한 문정인 통일외교안보 대통령특보가 19일(현지시간) 뉴욕 아시아소사이어티에서 열린 '한반도 위기-한미동맹의 의미' 세미나에 참석하고 있다. 2017.6.19
jun@yna.co.kr

j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