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여행, 일반 여행보다 지출 35% 많아..지역경제 기여"

박창욱 기자 2017. 6. 19. 09: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른 지역으로 떠나는 걷기 여행의 1인당 평균지출이 8만 1711원으로 일반 여행보다 35% 많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치유(힐링)·체험·건강·체류형 여행 등을 아우르는 걷기 여행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문체부는 이런 점으로 볼 때 앞으로 걷기여행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체부, 올해 '봄 우리나라 걷기여행축제' 결산 설문
김용택 시인과 함께하는 섬진강 걷기여행. 문체부 제공 © News1

(서울=뉴스1) 박창욱 기자 = 다른 지역으로 떠나는 걷기 여행의 1인당 평균지출이 8만 1711원으로 일반 여행보다 35% 많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치유(힐링)·체험·건강·체류형 여행 등을 아우르는 걷기 여행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한국관광공사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2017 봄 우리나라 걷기 여행축제’ 관련 집계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올해 처음으로 지난 5월 전국 13개 지역에서 개최한 이번 축제에는 모두 1만4646명이 참가했다. 지역 거주자가 54.7%, 다른 지역 거주자 45.3%였다.

현장에서 참가자 40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걷기 여행 경험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의 35.5%가 이번 걷기 여행축제 참여를 ‘첫 걷기 중심 여행 경험’이라고 답해 이번 행사가 걷기여행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낙동강 쌍절암 생태숲길 걷기여행 © News1

또 응답자 1인당 평균 여행 소비지출액은 5만 9837원으로 조사됐다. 지역 거주자들은 1인당 평균 3만 907원을 지출한 반면, 타 지역 거주자들은 이보다 약 2.6배 더 많은 1인당 평균 8만 1711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행경험자 1회 평균 여행지출액’에 대한 최신자료인 6만731원에 비해서도 약 35% 더 많은 금액이다. 문체부는 이런 점으로 볼 때 앞으로 걷기여행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했다.

행사 참여 이유로 ‘평소 걷기를 좋아해서’라는 응답이 40.6%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들의 87.1%는 앞으로 ‘걷기여행축제에 재방문 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또 88.7%는 ‘주변에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관심 있는 여행 형태로 ‘걷기 여행’을 꼽은 응답도 66%에 달했고, 응답자들의 78.5%는 ‘향후 걷기 중심의 여행을 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삼성경제연구소가 ‘2009년 10대 히트상품’으로 ‘도보체험관광’을 선정한 이래 계속된 걷기 여행 열풍이 앞으로도 당분간 확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걷기여행 만족도 조사. 문체부 제공 © News1

걷기 여행축제 만족도 측면에서는, 코스, 프로그램 등 12개 항목에 대해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코스, 프로그램, 흥미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0% 이상이 만족한다고 답한 반면, 먹거리, 살 거리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0% 미만만이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황명선 문체부 관광정책실장은 “올해 처음으로 전국적으로 개최한 ‘우리나라 걷기 여행축제’는 느리게 걷기와 지역관광을 접목한 새로운 여행 형태를 제시하며 걷기 여행의 지평을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가을 걷기 여행축제에서는 봄 걷기 여행축제에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먹거리, 살 거리 등에 대한 부분을 보완해 더욱 풍성한 걷기여행이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up@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