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 /자료사진=뉴시스
문정인 통일·외교·안보 특별보좌관. /자료사진=뉴시스

문정인 통일외교안보가 북핵 동결 시 주한미군 전략무기와 한미 연합군사훈련 규모를 축소하겠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 청와대가 공식입장이 아니라고 해명했다.
문정인 특보는 16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 활동을 중단할 경우 한국 정부가 한미 군사연합훈련과 한반도에 배치된 미국 전략무기 축소를 미국과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후 정부 안보 정책과 관련 문 특보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청와대는 18일 오후 춘추관에서 취재진들에게 "청와대의 공식입장이 아니다"며 해명을 내놨다.


청와대 관계자는 인라 "해당 발언은 다양한 말을 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며 청와대 입장은 아니다"며 문 특보의 발언이 확대해석되는 것을 경계했다.

이 관계자는 또 "문 특보는 특보란 지위에 있지만 개인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했다. 문 특보도 개인 학자적 견해라는 것을 전제하고 이야기했다. 조율된 부분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앞서 문 특보의 발언은 미국 안보 매체 미국의소리(VOA) 보도를 통해 전해졌다. VOA에 따르면 문 특보는 16일 미국 워싱턴 우드로윌슨센터와 한국 동아시아재단 공동 개최 행사에서 문재인 신임 대통령의 대북 정책과 관련, 북한 핵·미사일 활동 중단 시 한미 연합군사훈련 규모 축소와 한반도에 배치된 미국 전략자산 축소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앨리샤 에드워즈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다음날인 17일 해당 보도에 대해 "문 특보 개인 견해로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