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택시가 중헌디"...'다큐 3일' 곡성 관광택시 72시간

18일 방송되는 KBS 2TV ‘다큐 3일’에서는 하얀 바지와 하와이안 셔츠를 말끔하게 입은 택시기사들 그리고 그들이 타고 있는 반질반질 광택 나는 택시 손님을 싣고, 정을 싣고 곡성 지역 곳곳을 누비는 ‘곡성 관광택시 72시간’을 소개한다.

/사진=KBS




■ 곡성에 수상한(?) 택시가 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답고 서정미 넘친다는 섬진강이 흘러 자연풍광이 뛰어난 곡성은 인접한 다른 도시에 비해 개발이 덜 된 곳이다. 하지만 구 곡성역을 중심으로 기차 마을과 세계장미 축제로 관광산업에 발돋움하기 시작했고, 작년에 개봉한 영화 <곡성>이 흥행하면서 사람들의 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곡성군은 그 열기에 힘입어 작년 10월 새로운 관광사업을 시행했는데, 바로 3시간에 6만 원의 이용료만 내면 곡성 내 가고 싶은 곳 어디든 데려다준다는 관광택시 사업이다. 택시기사들이 직접 운전하며 문화해설사로도 나서는 이 사업은 관광객의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2016년 10월 첫 운행 후 8개월째인 지금, 182팀 546명 관광객을 달성해 이제는 다른 지역 관광산업의 모티프가 되어가고 있다.

■ 인생 제2막을 시작한 10명의 관광택시 기사들!

평범하게 택시 운행하던 그들에게 오로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관광택시 사업은 또 하나의 도전이었다. 관광택시 기사로 발탁된 10명은 친절 교육, 사진 촬영 교육, 문화 관광 해설 교육 등 약 3개월간의 수련을 거쳤으며, 그 과정에서 생업을 포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애향심과 더불어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겠다는 열정이 있었기에 그 시간을 버텨냈다.

기사 중 최고령자인 심판섭(71)씨는 몇 년 전 암 판정을 받아 현재 항암 치료를 받고 있다. 몸 상태가 좋지 않지만, 오히려 관광객들에게서 활력과 용기를 얻는다고. 힘닿는 데까지 관광택시 기사를 하겠다는 그의 바람에서 삶에 대한 열정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관광택시 기사의 홍일점인 박애자(55)씨는 새로운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관광택시를 ‘일상의 활력소’라고 말하면서 관광객들을 긴장된 마음으로 대한다고 한다. 다른 기사들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관광객을 기다릴지, 그들의 72시간을 따라가 보자.

우리가 관광택시 시작한 지 아직 1년도 안 됐잖아요. 처음이다 보니까 즐거우면서도 긴장이 돼요. 왜냐하면, 우리가 잘 해내야 하잖아요.

-박애자(55)-

일반 손님을 모실 땐 시간이 짧잖아요. 그런데 관광택시는 최소 3시간은 하니까 관광객과 가족 같은 기분이 들고 친근함이 더 묻어나죠.

-고병무(54)-

제가 지금 건강이 안 좋은 상태인데 관광택시 운행하면서 용기를 많이 얻었습니다. 손님들께서 많은 응원을 주셨거든요. 그래서 제가 활동할 수 있는 데까지는 관광택시 기사를 할 겁니다.

-심판섭(71)-

/사진=KBS


■ 관광택시에 현혹된 외지인

관광객에게 곡성 관광택시의 최대 장점은 현지인이 직접 관광지를 해설하고 안내해준다는 점이다. 베스트 드라이버의 핸들링 아래, 관광지의 역사와 유래까지 들을 수 있는 맞춤형 관광은 일상에 지쳐 힐링하러 온 사람들에게 최고의 관광 상품이다. 멀리 캐나다 토론토에서 온 김학석(38), 조애란(33) 부부는 책이나 글 등 딱딱한 텍스트가 아닌 현지인의 생생한 목소리와 함께 곡성을 여행할 수 있어 좋았다고 한다. 또한, 딸과 딸 친구를 데리고 곡성을 찾은 허주희씨(42)는 장소나 거리 등 신경 쓸 필요가 없어 최초로 편하게 다닌 여행이라고 전했다. 관광객들에게 관광택시와 함께한 곡성은 어떻게 기억될까.



곡성에 사신 분이 안내해주는 게 좋은 것 같아요. 그냥 책만 보고 가면 거기서 끝이잖아요. 근데 이건 어느 계곡이 더 좋고 어디가 더 좋고 어디가 더 맛있고 뭐 어딜 가면 더 좋은 데를 보여줄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잖아요.

-조애란(33)-

최초로 가장 편하게 다닌 여행? 왜냐하면, 제가 신경을 하나도 안 써도 되잖아요.

-허주희 (42)-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설명을 해주시니까 편하고 직접 운전 안 하는 게 어디예요. 이렇게 아이들하고 얘기하면서 여행할 수 있다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장연근(43)-

■ 택시는 정을 싣고, 사랑을 싣고

예약된 관광객이 없을 때 관광택시 기사는 본 업무인 일반 택시기사로 돌아간다. 옆집 숟가락 개수마저 알 정도로 작은 곡성에서 버스가 들어오지 않는 오지마을 원주민들의 유일한 교통수단은 택시. 특히 읍·면 마을 소재지까지 100원, 생활권역까지 1,200원만 지급하면 되는 ‘효도 택시’는 돈 없고 몸 불편한 어르신들에게 큰 인기다. 그렇기에 이제 택시기사들은 손님의 얼굴만 봐도 알아서 집으로 데려다주고, 장날엔 심부름을 해주며, 밭에서 지은 농작물도 한 아름 얻어오기도 한다. 이렇게 곡성의 택시는 단순히 이동수단이 아닌 곡성 사람들의 손과 발이자, 말동무이자, 사랑방이자, 부모·형제·친구나 다름없다.

하여튼 교통수단으로써는 없어선 안 되죠. 택시 없으면 어떡하겠어요. 대중교통이 안 들어오니까 불편하죠. 택시가 들어오니까 참, 더 좋을 수가 없죠.

-정수기(84)-

이 먹은 사람은 짐을 들고 가려 해도 못 들고 가요. 거리가 있어서. 근데 우리 기사님이 협조를 잘해주셔서 편하게 다닙니다.

-김봉임(76)-

/서경스타 한해선기자 sestar@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