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北 핵동결시 한미군사훈련 축소"

문정인 "北 핵동결시 한미군사훈련 축소"

2017.06.17. 오전 09: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방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의 통일외교안보 특보,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는 북한이 핵미사일을 동결하면 한미 군사훈련의 축소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사드 배치를 위한 환경영향평가는 적어도 1년은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워싱턴에서 특파원 연결합니다. 김희준 특파원!

문정인 특보가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 전략을 밝혔는데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문정인 통일외교안보 특보가 한미동맹을 주제로 한 워싱턴의 한 세미나에서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을 비롯한 외교안보전략을 설명했습니다.

문 특보는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하되 국제사회의 제재 틀 안에서 북한과 교류와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핵미사일 활동을 중단하면 미국 측과 상의해 한미 합동군사훈련도 축소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이 도발을 멈추면 한미훈련에서 전진 배치돼온 항공모함과 전략폭격기 등의 전개를 하향 조정함으로써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겠다는 겁니다.

사드 배치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에는 적어도 1년이 소요된다고 밝혔습니다.

환경평가는 사계절 동안 그 결과를 봐야 하기 때문인데, 주한미군도, 한국 대통령도 한국법 위에 있을 수 없다면서 국내 법적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문 특보는 이어진 기자간담회에서 "사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동맹이 깨진다는 인식이 있는데, 그게 무슨 동맹이냐"며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정부의 대북 정책은 '최대의 압박과 관여'인 반면 문재인 정부는 국제사회의 제재에 동참하되 그 틈을 찾아 대화와 관여한다는 입장으로 다소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한국이 미국을 놀라게 할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과의 대화는 비핵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못 박았습니다.

이는 북한이 도발을 중단할 경우 조건 없는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언급과는 입장과는 여전히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