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럼프, 웜비어 부친에 위로 전화…"슬픔 표시"

트럼프, 웜비어 부친에 위로 전화…"슬픔 표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에 17개월간 억류됐다가 현지시간으로 지난 13일 혼수상태로 귀국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22)의 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어 위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웜비어의 아버지인 프레드 웜비어는 15일 기자회견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웜비어가 고향인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에 도착한 다음 날인 14일 밤 10시쯤 전화를 걸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식이 없는 웜비어의 상태에 대해 '슬픔(sorrow)'을 표시했다고 그의 부친이 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웜비어의 송환을 위한 미 국무부의 노력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프레드 웜비어는 "그(트럼프 대통령)는 오토를 찾아내려고 했다"면서 "자애롭고 친절한 일"이라고 감사를 표시했습니다.

반면, 전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정부에 대해서는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오바마 정부'가 웜비어 가족들에게 '로키'를 유지할 것을 강조했다면서 "그렇게 했으나 아무런 결과를 얻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후 "우리 가족은 전략적 인내를 끝낼 시간이 됐다고 결심했다"고 말했습니다.

프레드 웜비어는 이날 아들이 북한서 기자회견 때 입었던 밝은 색상의 재킷을 입은 채 기자회견을 했으며, 종종 감정에 북받치는 듯 울음을 억누르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는 아들이 '오랜 기간 북한에서 가혹한 처우를 받은 데' 분노한다면서 아들이 북한에서 '전범'으로 억류돼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웜비어가 보툴리누스 중독증에 걸린 뒤 수면제를 복용했다가 혼수상태에 빠졌다'는 북한의 주장을 일축하면서 "북한이 내 아들을 다룬 방식에 대해서는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분개했습니다.

웜비어를 치료하고 있는 미 신시내티 주립대 병원 의료진은 이날 웜비어의 뇌 조직이 광범위하게 손상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원인은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삭발 상태로 코에 호스를 꽂은 채 들것에 실려 귀국한 웜비어는 의식불명 상태로, 말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