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얼·코코아 가공품 당류 영양표시 의무화

이지현 2017. 6. 15.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당류 섭취가 꾸준히 늘자 정부가 당류 영양표시 의무화 품목 확대를 통해 당류 적정섭취를 권장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1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2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2017~2021)을 발표했다.

정부는 5년마다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이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시·군·구에서 시행계획을 수립해 지역 특성에 적합한 식생활·영양사업을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2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 (2017∼2021) 확정·발표
당류 영양표시 의무화 품목 2022년 과일·채소류 가공품류까지 확대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당류 섭취가 꾸준히 늘자 정부가 당류 영양표시 의무화 품목 확대를 통해 당류 적정섭취를 권장키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1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2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2017~2021)을 발표했다.

정부는 5년마다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이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시·군·구에서 시행계획을 수립해 지역 특성에 적합한 식생활·영양사업을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2012년에 제1차 국민영향관리기본계획(2012~2016)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3.2%였다. 고령화에 가속도는 2040년에는 42.8%로 3배 이상 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혼밥’하는 1인 가구 비율도 2015년 27.2%에서 해마다 늘어 2035년 34.6%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같은 상황은 식이관련 질병 유병률 증가로 이어져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비만 관련 사회적 비용은 연간 6조 8000억원(2013년 기준)에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이에 정부는 가공식품 및 일반 음식점 등의 영양표시 의무를 확대·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당류 관련 정보제공을 위한 영양표시 의무화 품목을 확대하고 가공식품의 활자 및 표시량 간소화 등 식품표시 관리체계도 개선한다. 올해는 시리얼과 코코아 가공품을 대상으로 한 후 2019년 드레싱·소스류, 2022년 과일·채소류 가공품류로 확대키로 했다.

2013년 기준 당류 섭취량이 1인당 72.1g에 이르고 있고 특히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44.7g에 이르고 있어서다. 소비자가 당류표시를 확인하고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적정수준의 당 섭취 인구 비율 증가 현황을 2차 기본계획에서 신규 지표로 설정해 2015년 64.5%에 불과한 적정수준의 당을 섭취하는 인구를 정부는 2021년 8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적정 수준의 당 섭취 인구는 우유 이외의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되는 첨가당을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 미만(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은 50g 이내)으로 섭취하는 인구 비율이다. 당류 50g이 들어있는 가공식품의 양은 아이스크림 2개, 탄산음료 1잔, 오렌지쥬스(250ml) 2병, 카스테라 3조각, 커피음료 2개 등이다.

또 정부는 남성은 2.4배, 여성은 1.7배 이상 나트륨을 과잉섭취하고 있다고 보고 세계보건기구 1일 권고량(2000mg) 이하 섭취 인구비율을 2015년 44.2%에서 2021년 50%까지 늘려나가기로 했다.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방과후 저영양·고열량 인스턴트 식품 등에 의존하기 쉬운 초등학교 아동들을 위해 초등돌봄교실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에 기반한 식생활·영양교육 프로그램을 확산키로 했다. 경로당·복지관 등에서의 회합형 노인 영양관리 프로그램 및 재가(在家) 노인에 대한 방문형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역사회에 보급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신뢰성 있는 영양정보에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질환별 식생활지침’을 개발·보급하고 영양섭취기준, 영양성분 함량 등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영양·건강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통합 플랫폼을 구축키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영양관리와 건강식생활 실천은 일상의 한 부분으로 그 중요성을 간과하기 쉽지만 건강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라며 “국민 개개인이 영양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도록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지현 (ljh423@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