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정현백 "위안부 문제, 피해자 동의 하에 후속조치 필요"

송고시간2017-06-15 06:40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화해치유재단 활동·위안부보고서 재검토"

사무실 들어서는 정현백 후보자
사무실 들어서는 정현백 후보자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14일 오후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종로구 청문회준비 사무실에 들어서고 있다. 2017.6.14
xyz@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피해 당사자들이 동의하는 선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후속조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15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2015년 12월 합의에는 피해 당사자들의 의견과 입장이 반영되지 않았다. 그분들이 바라는 방향에 대해 여가부가 세심하게 의견을 들어야 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여가부는 정부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사이의 접촉 창구다. 재작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출범한 화해·치유재단 역시 여가부 등록 법인이다. 그러나 화해·치유재단은 일본 정부 거출금을 피해자들에게 지급하는 과정에서 의사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정 후보자는 "한일 합의는 국민 정서에 맞지 않고 국민이 납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본과 협의를 하면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며 "합의는 쌍방의 문제여서 현 시점에서 단정적으로 어떻게 하겠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그는 "화해·치유재단의 사업과 활동은 일차적으로 점검해보고 대응방안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15년 한일 정부간 합의에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이 화해·치유재단에 맞서 설립한 정의·기억재단의 이사로도 활동했지만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자 사퇴했다.

정 후보자는 여가부가 지난달 펴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관한 보고서'에 대해서도 "검토해보고 필요하면 다시 제대로 써야 한다"고 말했다.

여가부는 민간용역으로 위안부 보고서를 발간했다가 2015년 한일 합의를 '외교적 성과'라고 평가하는 등 긍정적으로 기술했다는 일부 집필진의 항의를 받고 머리말을 수정하며 우왕좌왕했다.

정 후보자는 한국여성단체연합과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지내며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열리는 수요집회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정치적 입장을 떠나 피해자 할머니들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공감하는 자리"라며 장관으로 임명된 이후에도 참석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dada@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