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0.25%p 올려 한국과 같아져.."보유자산도 축소"(종합2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가 3개월 만에 다시 0.25% 포인트 인상됐다.
이날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의 지난달 실업률이 16년 만에 최저치인 4.3%로 떨어지는 등 양호한 경제성장을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1.25%)는 같아지게 됐다.
특히 연준이 시장의 예상대로 올 하반기에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미국의 기준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더 높아지게 되는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조5천억달러 규모 보유자산 축소시 국내 외국인자금 이탈 우려
연준 "노동시장 강세 지속, 경제활동 양호 상승"
16년만에 실업률 최저 등 양호한 경제성장 반영, 하반기 1차례 더 올려
4조5천억달러 규모 보유자산 축소시 국내 외국인자금 이탈 우려
연준 "노동시장 강세 지속, 경제활동 양호 상승"
(워싱턴=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 미국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가 3개월 만에 다시 0.25% 포인트 인상됐다.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통화정책결정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4일(현지시간) 마감한 이틀간의 정례회의에서 현재 0.75∼1.00%인 기준금리를 1.00∼1.25%로 올렸다.
이번 금리 인상은 지난 3월 0.25% 포인트 인상 이래 3개월 만이며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출범한 올해 들어 2번째이다.
또 연준은 올해 모두 3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해 올 하반기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 확실시된다.
이날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의 지난달 실업률이 16년 만에 최저치인 4.3%로 떨어지는 등 양호한 경제성장을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연준은 성명에서 "노동시장의 강세가 지속하고 경제활동이 올해 들어 지금까지는 양호하게 상승해왔다"고 기준금리 인상 배경을 밝혔다.
또 물가가 당분간 연준의 중기목표치인 2%를 하회할 것이며 올 초 경기둔화 현상이 나타났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현상이 일시적이라고 연준은 설명했다.
이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1.25%)는 같아지게 됐다.
특히 연준이 시장의 예상대로 올 하반기에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미국의 기준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더 높아지게 되는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함께 연준은 경제가 예상했던 대로 광범위하게 진전된다면 4조5천억 달러 규모의 보유자산(밸런스시트)에 대한 축소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축소 규모는 미국 국채 60억 달러와 주택담보부증권 50억 달러 등 월간 11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이코노미스트들은 전망했다.
연준이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양적완화' 과정에서 사들이 채권 등 보유자산을 매각하면 미 국책금리가 상승하면서 국내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파급시간이 긴 금리 인상과는 달리 보유자산 축소는 장기금리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미 장기금리는 더 빨리 오를 수 있다.
실제 미 기준금리가 더 높았던 2005년 8월부터 2년간 국내 증권 시장에서는 모두 19조7천억 원의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간 바 있다.
shin@yna.co.kr
- ☞ 에이핑크에 살해 협박 전화…소속사로 경찰 출동
- ☞ "런던 화재 불길 속에서 엄마가 던진 아기 주민이 받아내"
- ☞ 美유나이티드항공, 승객 내동댕이 영상 공개로 또 곤욕
- ☞ 백만장자 교수의 '어이없는' 죽음…산책 중 그만
- ☞ '도하 충격패'…더욱 험난해진 슈틸리케 감독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美 금리인상] 하반기에 한번더..보유자산 정상화도 연내 시동(종합)
- [美 금리인상] 소비 회복 지연되고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 우려
- [美 금리인상] 대출금리 더 오를까..금리상승기 대처 요령은
- [美 금리인상] 韓경제 뇌관 가계빚 부실화로 실물경제 위험전이 가능성
- [美 금리인상] 한미 정책금리 같은데..한은 연내 금리 올릴까
- 도쿄서 40대 한국인 여성 피습 사망…韓남성 범인 공항서 잡혀(종합) | 연합뉴스
- 수원 패스트푸드점 폭발물 자작극 벌인 배달기사 구속기소 | 연합뉴스
- 전기자전거에 개 매달고 죽을 때까지 달려…50대 견주 구속영장 | 연합뉴스
- 병간호 '힘들다' 말한 아내 살해…前서울대 교수 징역 25년 | 연합뉴스
- 불륜 문제로 다투다 동거남에게 뜨거운 물 붓고 흉기 휘둘러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