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식 경상대 교수팀, 식물 냉해 내성 유도 메커니즘 밝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물의 냉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왔다.
정우식 국립 경상대학교(GNU)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분자생물학과 생화학적 실험, 유전학적 기법을 이용, '식물의 냉해 내성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세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정 교수팀의 식물 냉해 내성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 규명은 냉해로 인한 식물 생장 및 생산성 감소를 극복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물의 냉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왔다.
정우식 국립 경상대학교(GNU)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분자생물학과 생화학적 실험, 유전학적 기법을 이용, '식물의 냉해 내성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세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정 교수팀은 식물의 냉해 과정에서 나오는 마이토젠 활성 단백질 '키나아제'가 냉해 내성을 방해하는 MYB15 인자의 기능을 억제하고, 그 결과로 식물의 냉해 내성 유전자 발현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식물 생산성 향상은 농업 분야의 중요한 연구 과제 중 하나다. 특히, 식물은 외부 환경에 의해 생산성이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냉해와 같은 외부 환경 스트레스에 관한 조절 메커니즘 규명은 식물 생산성 향상과 직결된다.
정 교수팀의 식물 냉해 내성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 규명은 냉해로 인한 식물 생장 및 생산성 감소를 극복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또 냉해 내성 작물 개발을 위한 원천 기술과 유전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우식 교수는 “냉해 내성 억제 인자인 MYB15를 분자생물학적 혹은 유전체 교정 기술로 돌연변이화해 작물에 적용하면 향상된 냉해 내성을 지닌 식물체를 개발할 수 있다”면서 “이 원천기술을 잘 활용하면 겨울철 시설 채소 생산 원가 절감을 비롯해 농업 소득은 물론 장기적으로 작물의 경작 북방 한계선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진주=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