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금리 신호에 시장 '깜짝'.."연내 인상은 어려울 듯"

온다예 기자 2017. 6. 12. 17: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처음으로 금리 인상을 시사하자 국채 시장이 출렁거렸다.

채권시장의 동요에도 시장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연내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을 것이라 보고 있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이번 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이주열 총재 발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까닭"이라며 채권금리 인상 배경을 분석했다.

채권시장의 동요에도 한국은행이 연내 금리를 인상할지에 대해선 시장 전문가들은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발언 직후 금리 5bp 상승..최근 흐름보다 상승 폭 커
"연내 금리동결 전망..내년 하반기쯤 인상할 수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한국은행 창립 67주년 기념식'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17.6.12/뉴스1 © News1 성동훈 기자

(서울=뉴스1) 온다예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처음으로 금리 인상을 시사하자 국채 시장이 출렁거렸다. 채권시장의 동요에도 시장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연내 금리를 인상하지는 않을 것이라 보고 있다.

이주열 총재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직후 12일 국채 3년물 금리는 5bp(1bp=0.01%) 내외의 폭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최근 흐름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이날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날보다 6.5bp 오른 1.697%를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도 4.9bp 상승해 2.222%를 나타냈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이번 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이주열 총재 발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까닭"이라며 채권금리 인상 배경을 분석했다.

채권시장의 동요에도 한국은행이 연내 금리를 인상할지에 대해선 시장 전문가들은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 금리 인상 시기는 내년으로 내다봤다.

서향미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 채권담당 차장은 "이번 총재의 발언은 시장이 금리인상을 고민해야 하고 프라이싱(시장가격 반영) 해야 한다는 정도의 차원이지 당장 금리 인상에 대한 시그널이라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사 차장은 "이번 금리 반등으로 채권금리는 지난 3~5월 형성했던 박스권 하단으로 겨우 올라왔다"며 "총재의 발언으로 채권금리가 움직였지만 급박한 금리 인상으로 생각했다면 더 큰 폭의 움직임을 보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채권전략팀장은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사라진 지 오래지만, 총재 입을 통해서 금리 인상을 시사한 점이 의미가 있었던 듯하다"며 결국엔 금리 인상 시기가 문제라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앞으로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국내 재정과 화폐정책의 진행 정도와 수출 성장세 등이 관건이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밑돌고 있어 섣불리 긴축할 상황은 아니다"고 내다봤다.

정영록 한국투자증권 채권팀 연구원 역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 통상적으로 경기부양에 대한 스탠스를 유지하기에 긴축을 추진하기 힘들다"며 연내 금리 인상이 힘들 것이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권의 경제 내각에 새롭게 들어서는 분들은 소득 위주의 경제정책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며 "금리를 인상하면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어 가처분소득에 부담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여삼 미래에셋대우 채권담당 수석 연구위원은 "경기부양책 효과를 점검하고 미국 금리 인상 정상화 과정을 확인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내년 상반기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hahaha8288@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