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첫 시정연설...'일자리 추경' 직접 설명

문 대통령, 첫 시정연설...'일자리 추경' 직접 설명

2017.06.12. 오후 1:1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잠시 후 헌정사상 처음으로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 제출에 따른 시정연설을 합니다.

여야 의원들을 상대로 일자리 추경안의 원만한 처리를 요청할 예정입니다.

또, 시정 연설에 앞서 여야 지도부를 만나서는 인사 청문 절차 등에 대한 초당적인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에 중계차 나가 있습니다. 이종원 기자!

오늘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시정연설에 나서는데, 일자리 추경안 처리를 요청하는 게 주된 내용이겠군요?

[기자]
문 대통령의 시정연설은 일자리 추경 편성의 시급성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입니다.

지난주 국회에 제출된 이번 추경안은 문재인 정부 일자리 정책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11조 2천억 원을 투입해 공무원 만2천여 명을 포함한 일자리 11만 개를 창출하는 게 주된 내용입니다.

문 대통령은 고용절벽을 막기 위한 일자리 마련의 시급성과 절박성을 설명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정부 주도로 만들어지는 이번 일자리들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복지 등에 집중됐다는 점도 부각할 전망입니다.

추가로 투입되는 예산이 일자리 확충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민생 서비스를 높이는 데에도 이바지한다는 점을 강조해 국회의 원만한 처리를 당부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좋은 일자리를 늘려 그 힘으로 경제성장을 이루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소득 주도 성장'을 다시 한번 설명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문 대통령이 전례 없던 추경안 시정연설에 나선 건 어떤 의미로 봐야 할까요?

[기자]
추경안 편성에 따른 현직 대통령의 시정연설은 헌정 사상 처음입니다.

일자리 확충이 새 정부 핵심 정책이고, 이번 추경안이 그 첫걸음인 만큼, 임기 초반 확실한 국정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됩니다.

또 취임 34일째에 이뤄지는 문 대통령의 시정 연설은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선출된 대통령 가운데 가장 빠른 국회 연설 기록으로도 남게 됩니다.

지금까지는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취임 37일째, 이라크 파병 동의안과 관련한 연설을 한 것이 가장 빠른 기록이었습니다.

취임 이후 줄곧 관례와 형식을 벗어던졌던 문 대통령이 오늘 시정연설에서도 국회를 설득하기 위해 어떤 파격적인 형식을 보여줄 지도 관심입니다.

문 대통령은 시정 연설 직전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를 비공개로 따로 만나 회동합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등 청문 절차를 넘지 못한 인사들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정부조직 개편안을 포함한 개혁 입법에도 국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보입니다.

잠시 후 오후 2시에 시작하는 문 대통령의 시정연설은 YTN에서 생중계합니다.

지금까지 청와대 춘추관에서 YTN 이종원[jongwon@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