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교육부총리 후보자에 지명됐다. 사진은 지난 5월6일 당시 문재인 대통령 캠프 선대위원장이던 김 전 교육감이 광주에서 유세를 벌이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뉴시스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교육부총리 후보자에 지명됐다. 사진은 지난 5월6일 당시 문재인 대통령 캠프 선대위원장이던 김 전 교육감이 광주에서 유세를 벌이고 있는 모습. /자료사진=뉴시스

교육부총리에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이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새 교육정책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 청와대는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에 김상곤 전 교육감을 임명한다고 밝혔다.
경기 교육 수장으로 지내면서 무상급식 등 개혁안을 실현시킨 김상곤 후보자가 교육부총리에 임명될 경우, 입시분야 등 교육 여러 분야에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 교육정책 가운데 최대 관심은 수능 등 대학 입시 분야다. 교육부는 이미 2021학년도 수능 평가방식 전환여부 등을 포함한 개편안을 다음달 중에 확정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내년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새 교육과정 때문에 2021학년도 수능 개편도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특히 김 후보자가 수능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큰 폭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실제 김 후보자는 지난달 18일 열린 한 교육포럼에서 "7월 교육부가 2021학년도 수능을 어떻게 할지 결정할 텐데, 결국 수능은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꾸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고교 내신에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방안도 관심이다. 현재 고교 생활기록부에는 상대평가 방식과 절대평가에 따라 산출된 점수를 함께 표기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새 교육과정에서는 과목 선택 특성상 상대평가가 어려운 상황이다. 김 후보자는 이에 대해서도 "고교 성취평가제(절대평가제)가 도입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 중등교육 체제 자체에도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외고, 국제고, 자사고 등의 폐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김 후보자는 외고 등 특목고와 자사고가 대학입시를 위한 예비고로 전락한 상황을 지적하며, 교육정상화 차원에서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고교학점제 도입, 거점국립대 명문화 등 김 후보자가 추진하는 교육개혁안이 상당 부분 기초계획이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